•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29(화)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시민연대 ‘대구 할랄식품 밸리 조성 반대’... 특정 종교 특혜, 국민 안전↓

디지털뉴스팀  |  2024-01-04
인쇄하기-새창

[SOH] 대구시가 할랄식품 밸리(산업단지) 조성을 추진하는 데 대해 시민연대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고 ‘기독일보’가 최근 보도했다.

대구할랄산업반대시민연대(공동위원장 이창호·문계완, 이하 연대)가 지난달 “대구시는 할랄식품 밸리(산업단지) 조성을 즉시 철회하라!”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했다.

연대에 따르면, 2023년 8월 17일 홍준표 대구시장은 대구시 차원에서 2024년부터 2028년까지 5년간 50억 원이 투입되는 ‘할랄식품 활성화 사업’을 추진해 할랄시장 진출을 위한 할랄 인증 비용을 지원하고 현재 5개인 할랄 인증 업체 수를 2028년에는 50개사로 10배 늘린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대구시 당국은 할랄식품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엄중히 검증하지 않고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공청회도 거치치 않았다.

연대는 “대구시는 2030년 대구경북신공항 개항에 맞춰 식품산업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키로 하고 공항과 배후도시에 기업, 연구소 등을 모아 경쟁력을 갖춘 식품산업 거점으로 거듭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고 했다.

그러나 이 계획은 무슬림들의 대거 유입, 국내 이슬람 세력 확대을 부추길 것으로 예상된다.

연대는 “대구경북신공항의 배후부지에 건립될 복합형 식품산업클러스터에는 할랄식품 밸리 등 총 5개 밸리(valley)가 들어선다고 한다”며 “대구시 담당자들은 할랄산업 지원정책의 목적이 이슬람 종교와 무관하다고 하지만 이슬람 경전인 코란에 근거해 할랄식품을 도축할 때 ‘타크비르(Takbir)’ 즉, ‘알라후 아크바르(알라는 가장 위대하다)’라고 외치는 종교 행위를 거쳐야 하는 것으로 이는 명백한 이슬람 종교 행위”라고 했다.

이어 “이 구호는 이슬람의 지하드 전사들이 자폭 직전에 외치는 구호라고 알려져 있다”며 “이러한 할랄식품을 제조하는 할랄인증에 국민의 세금으로 해당기업을 지원하는 행위는 특정 종교에 대한 특혜이며 이를 경제 논리로 은폐하는 행정은 국민을 기만하는 처사”라고 지적했다.

대부분 이슬람국가들은 할랄도축을 위해 반드시 무슬림이 도축자가 되어야 한다. 유대교인이나 기독교인도 도축자가 될 수 있다고 하지만 조건은 유대인이나 기독교인 도축자가 이슬람 종교 구호(Takbir)를 외치고 도축해야 한다. 

연대는 “한국 기업이 할랄음식으로 이슬람 사회에 진출하려면 모두가 이슬람으로 개종하거나 모든 직원을 이슬람인으로 고용해야 한다”며 “이런 점에서 할랄식품은 곧 이슬람의 확산과 직결되고, 그것은 근래 유럽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갖가지 폭력, 테러, 강간, 사회 갈등, 복지기금의 고갈 등을 불러오는 반면 경제적 이익은 그리 크지 않는 소탐대실(小貪大失)이 될 수 있음을 미리 볼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만약 문화적 입장에서 한국을 방문한 무슬림들이 한국음식을 자유롭게 대하지 못한다면 그것이야말로 종교적 이유가 분명하고 종교적인 신념으로 ‘할랄’음식을 고집하는 바, 대구시와 정부가 특정 종교에 편향된 정책을 펼치는 것은 객관적인 입장에서 더욱 용납될 수 없다”고도 했다.

“무분별하고 편향된 할랄산업 지원정책의 확산으로 우리 사회에 무슬림이 많아질 경우 사회적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게 연대의 입장이다. 

독일의 경우 앙겔라 메르켈 전 총리도 난민 정책으로 이슬람인을 대거 수용했으나 독일의 사회와 문화에 적응하지 않고 이슬람식 게토(ghetto·빈민 거주 지역)를 형성하여 독일의 이주민 정책이 실패했다고 토로한 바 있다.

프랑스의 경우도 그간 북아프리카(모르코, 알제리, 튀니지 등) 이슬람 이주민들을 다수 수용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이슬람 이주민들은 다자녀로 프랑스 사회복지의 혜택을 누리지만 2세들은 프랑스에 동화되지 않았고 파리 테러(2015년 11월)와 같은 참혹한 사회적 재앙을 자초했다.

연대는 “무엇보다 이슬람을 총체적으로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선이행, 후대책’식의 방법으로 ‘할랄’산업 육성화 정책을 강행하는 것은 매우 무책임한 일이며 사회적 해악을 끼치게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대구시와 정부는 ‘할랄’산업 육성화로 실제적인 이익집단이 될 이슬람공동체의 내부자적 목소리에만 귀 기울일 것이 아니라, 이미 이슬람화와 어려움을 경험한 서구 국가들 등 외부자적 견해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연대는 “할랄음식 밸리는 대한민국의 안보와 자유를 위협하고 상호주의에 입각한 자유무역주의 가치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며 “홍준표 대구 시장과 대구 시당국은 할랄식품 밸리 추진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관련기사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520 대구 함지산 산불, 강풍타고 급속히 확산... 시내 전역 ....
디지털뉴스팀
25-04-29
1519 KS한국고용정보 22GB 개인정보 유출... 다크웹서 15,000....
디지털뉴스팀
25-04-28
1518 [영상] 中여성 제주 시내버스서 흡연... 문화 소양 ‘0점’..
디지털뉴스팀
25-04-28
1517 [기자회견] “한교총의 션윈 비방은 오류... 즉시 시정해....
편집부
25-04-26
1516 [기자회견] '파룬궁 4.25 평화대청원 26주년' 기념
편집부
25-04-26
1515 어린이날 선물, 中직구 주의... 완구 4종 '가습기 살균....
디지털뉴스팀
25-04-24
1514 공군기지 무단촬영 후 석방된 중국인들... 이틀 뒤 재범....
디지털뉴스팀
25-04-24
1513 중국인 무단촬영 기승... 오산 공군기지서 적발
디지털뉴스팀
25-04-23
1512 中, 서해 ‘구조물’ 확대... 100명 수용 ‘인공섬’도 설치 ..
디지털뉴스팀
25-04-22
1511 2300만명 사용하는 SKT... 가입자 유심 정보 유출
한지연 기자
25-04-22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5,757,993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