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공공도서관과 초·중·고 공립학교 도서실에 비치돼 있는 노골적인 성교육 도서에 대해 학부모들과 시민단체들의 회수 요청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지만 교육계는 소극적 대응으로 일관하는 모양새다.
학부모단체 관계자들과 교육계 관계자들은 5일 경기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세이프 섹스 교육(safe sex education)'을 명목으로 음란물에 가까운 성교육 서적이 난립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단체에 따르면 현재 유해도서로 지목된 책은 △사춘기 때 꼭 필요한 성지식 △10대를 위한 빨간책 △성교육 상식사전 △여자사전 △외계인 소녀 원시인 소년 등이다.
청소년에 대한 성교육울 주장하는 이 책들에는 △남녀 신체 부위를 과도하게 노출하거나 △성행위를 구체적이고 직접적으로 묘사할 뿐 아니라 △자위 방법은 물론이고 여럿이서 성행위를 하는 집단 난교와 항문성교 등에 대한 설명도 나온다.
이 외에도 일부 책에서는 같은 성별에게 끌리는 현상을 자연스럽다고 표현하는 등 동성애와 동성혼에 대해서 긍정적인 입장을 취해 10대들의 올바른 성적 가치관 형성을 파괴하는 내용이 다수 수록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수년 간 성교육 도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앞서 2020년엔 여성가족부가 추천했던 ‘나다움 어린이 책’ 리스트에 대해 학부모들가 반발하면서 일부 도서가 회수됐다.
이후 회수되지 않은 책에 대해 계속 문제가 제기되고 있지만, '독서권 침해'라는 일부 진보단체의 반발로 아직까지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어 유아·아동 코너에 그대로 비치되고 있는 상태다
김민경 꿈키움성장연구소 소장은 "해당 책들로 인해 아이들에게 왜곡된 성인식과 성적 가치관을 심어줘 무분별한 성적 호기심이나 일탈을 초래할 수 있다"며 "다수의 학부모가 동의할 수 없는 음란한 내용을 담은 도서를 공공도서관과 학교 도서실에 비치하는 것은 학부모의 권리를 침해한 것과 마찬가지다"고 비판했다.
단체는 교육계가 고집하는 성적 충동과 자기결정권을 강조하는 '세이프 섹스' 교육에 대해, 절제교육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성교육에 대한 기조가 달라져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절제교육은 가정과 생명에 대한 존중을 근간으로 하는 교육을 가리킨다.
이날 주제발표를 한 김지연 한국가족보건협회 대표는 "공립 학교에서 시행되는 성교육은 절제교육보다 세이프 섹스 교육이 대세가 되고 있어 큰 문제"라며 "다음 세대 아이들이 올바른 성적 가치관을 갖도록 계속해서 반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우경 경기도학부모단체연합 대표는 "생명과 가정, 사회 공동체를 귀하게 여기는 올바른 성가치관 교육 필요하다"며 "정부와 지자체가 학교와 공공기관에 비치된 외설적인 성교육 도서들을 폐기하고 올바른 조례를 세우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데일리굿뉴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