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평균 혼인연령대인 30~34세 미혼 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혼자 사는 청년 세대 역시 200만명에 육박해 5년 전 대비 대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통계청의 ‘2000~2020년 우리나라 청년세대의 변화’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청년세대(만19~34세)인구는 1021만3000명으로 총인구의 20.4%를 차지했다.
총인구 대비 청년세대 인구비중은 1990년 31.9% 최고치 달성 이후 꾸준히 감소해왔으며, 오는 2050년에는 약 11%까지 하락할 전망이다.
2020년 기준 청년세대의 미혼 비중은 783만7000명으로 전체의 81.5%를 차지해 2015년 대비 6.5%p 늘었다.
연령별로는 30~34세의 미혼 비중이 56.3%를 기록했다. 2000년 18.7% 대비 약 3배 늘어난 수준이다. 25~29세 미혼 비중도 같은 기간 54.2%에서 87.4%로 33.2%p 늘었다.
2020년 기준 혼자 사는 청년세대 인구는 193만5000명으로 전체 청년 중 20.1%를 차지했다. 이 인구는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왔으며 2015년(12.9%) 이후 급증하는 추세다.
청년세대가 혼자 사는 주된 이유는 ‘직장 때문’이 55.7%로 가장 많았고 ‘독립을 원해서’가 23.6%, ‘학업 때문’이 14.8%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청년 혼인 건수도 2011년 32만9000건에서 지난해 19만2000건으로 41% 크게 감소했다.
이와 함께 결혼을 하더라도 자녀를 원치 않는 비율도 2018년 46.4%에서 지난해 53.5%로크게 늘어 출생아 수 감소가 한층 더 심각해질 것으로 우려된다.
한지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