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대구 대현동 이슬람 사원 건축 문제로 인한 갈등이 3년째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대구시가 할랄 사업을 지원하기로 해 논란이다.
지난 8월 대구시는 올해를 할랄식품 활성화 원년으로 삼고 2028년까지 5년간 50억 원을 들여 할랄 활성화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식품 및 할랄인증 관련 산·학·연 전문가들로 ‘할랄식품 활성화 협의회’도 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현재 7,100만 달러인 대구 식품 수출액을 2억 달러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할랄 인증 업체 수도 10배 늘리고, 수출액도 3배 올리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지역주민들은 대현동 이슬람 사원 문제로 법적 공방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지역민의 정서를 무시한 채 사업을 추진한다면 갈등이 더 깊어질 수 있다는 입장이다.
최영학 할랄식품대책시민연합 목사는 "할랄 식품 활성화 사업은 이슬람 사원 건축 문제와 별도로 볼 수 없는 문제"라며 "현존하는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 않은 채로 사업을 밀어붙인다면 현존하는 지역 내 갈등이 증폭되는 건 당연한 수순"이라고 지적했다.
최 목사는 할랄 산업 활성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 문제도 짚었다. 국민의 세금을 특정 종교의 율법 준행에 돕는 게 종교편향 정책이라는 주장이다.
그는 "전 정부에서 진행된 할랄 산업 관련 정책은 대부분 실패로 끝났다"며 "지자체가 시민들의 혈세를 특정 종교의 식품 수출을 위해 기업에 인증료를 지원하는 것은 종교편향적"이라고 꼬집었다.
할랄식품대책시민연합은 한국교회와 연합해 대구시의 추진 계획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할랄 사업의 문제점을 대구시의회에 알리고, 매주 연합기도회를 열겠다는 구상이다.
남태섭 대구교시협의회 회장은 "여러가지 이해관계가 얽혀 있기 때문에 지혜롭게 대응해 나가는 게 중요하다"며 "관심을 갖고 계속해서 추이를 주시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9월 대현동 이슬람 사원 건축은 공사 과정에서 위법 사항이 발견돼 건립 공사에 제동이 걸렸다.
구청 관계자에 따르면 건축주 측이 사원 2층 바닥을 지탱하는 철골보 상부에 스터드 볼트를 다수 설치하지 않은 채 콘크리트를 타설한 것으로 알려졌다.
데일리굿뉴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