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필수의료 영역에서 전문의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다. 40대 이하 연령대는 줄고 50대 이상은 큰 폭으로 늘고 있다.
2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전문기자협의회와 기자간담회를 갖고 필수과 전문의 고령화 현상 등을 집중 조명했다.
신 의원이 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외과, 흉부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등 필수과목에 활동 전문의가 고령화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10년간 주요 필수과목 전체 활동 전문의 연령대별 증감 현황을 살펴보면, △70대가 2013년 686명에서 2022년 1621명으로 136.3% 늘며 가장 증가율이 높았다. 이어 △60대 86.5% △50대 35.6% 순으로 상승했다. 반면 △30대 이하는 2013년 3988명에서 2022년 3024명으로 줄며 24.2% 하락했다. △40대도 6% 하락했다.
2013년에 필수과목 전문의 연령대는 40대, 50대, 30대 이하 순으로 분포했으나 지난해에는 50대, 40대, 60대 순으로 바뀌었다.
과목별로 △외과는 70대 이상이 2013년 326명에서 2022년 625명으로 늘었다. △흉부외과는 70대 이상이 같은 기간 8명에서 54명으로 증가했다. △산부인과는 70대 이상이 219명에서 568명으로 상승했다. △소아청소년과는 133명에서 374명으로 늘었다.
이런 상황에 대해 신 의원은 “현재는 어떻게든 버티고 있지만, 후배들과 MZ세대 의사들에게 열악한 현실에서 필수의료를 지키자고 설득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라며 △전문의 준비 및 양성에 대한 지원 △전문의에 대한 처우개선 등 인력 확보를 위한 국가 차원의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강주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