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나온 오염수를 올여름부터 방류하겠다고 나선 가운데 오염수 방류 시운전이 시작됐다.
12일 ‘NHK'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후쿠시마 원전을 운영하는 도쿄전력은 이날 오전 8시40분부터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설비의 시운전을 시작했다.
이번 테스트는 원전 오염수 희석·방류 장치에 대한 정상 가동 여부 확인을 위한 것으로 2주간 진행된다. 오염수 대신 담수를 해수와 섞어 원전 앞바다로 방류하는 방법이다.
도쿄전력은 오염수 방류를 위해 지난 4월 25일 약 1030m 길이의 해저터널 굴착을 완료했다.
NHK는 "성능 확인과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의 검사 등을 거치면 이달 중으로 방출 준비가 마무리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후쿠시마 지역 어민들은 일본 정부에 거듭 오염수 방류 반대 입장을 전달하고 있다.
노자키 데쓰 후쿠시마현 어업협동조합연합회장은 지난 10일 원전 소관 장관인 니시무라 야스토시 경제산업상과 회담 후 오염수 방류를 반대하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앞서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2015년 후쿠시마현 이 연합회에 ‘오염수는 관계자의 이해 없이는 처분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담긴 문서를 전달한 바 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도쿄전력의 오염수 방류 설비 시운전이 완료되고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이와 관련해 발간할 최종 보고서에서 특별한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경우, 올여름부터 오염수 방류를 강행할 방침이다.
한편,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회장 남인숙)가 2021년 6월 7일부터 일본대사관 앞에서 진행해온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 반대 1인 시위’가 이날 100회를 맞이했다.
이 시위에는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와 12개 회원단체들이 번갈아 참여하고 있다.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 방류는 해양생태계와 인류의 먹거리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것으로 단순히 우리 세대가 겪어야 할 문제에 그치지 않고 미래 세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위험하다.
일본은 방사능 오염수를 처리할 방법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가장 비용이 적게 드는 해양방류를 선택하여 전 세계인에게 걱정과 불안을 안겨주고 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정부가 이 문제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힐 것과 △해양수산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국내산 수산물을 철저히 관리, 국민과 지속적으로 소통할 것 등을 요구하고 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