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서울시가 서울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의 서울광장 사용 신청(6월30일~7월1일)을 불허했다. 조직위는 성소수자 반대 세력의 압력 등에 따른 결정이라며 반발했다.
조직위는 지난 4월 3일 서울시에 퀴어문화축제를 위한 서울광장 사용을 신고했다. 하지만 서울시는 같은 날 중복 신고된 CTS문화재단의 ‘청소년·청년 회복콘서트’를 우선순위로 판단, 조직위의 사용을 불허했다.
시에 따르면 퀴어축제 조직위원회와 CTS문화재단은 행사 개최 90일 전인 4월 3일 동시에 광장 사용을 신청했다.
시는 관련 조례에 따라 각 단체에 유선으로 사전 협의·조정을 타진했지만, 두 단체 모두 일정 변경이 어렵다고 답변했다.
이에 시는 서울광장 운영 관련 사항을 심의하는 열린광장운영시민위원회에 해당 안건을 상정했다.
시민위원회는 재적 위원 12명 중 과반수 출석에 과반수 찬성으로 의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날(5월 3일) 출석한 9명 전원은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행사인 CTS문화재단 행사를 찬성했다.
'시민위원회 결정은 서울광장의 사용 및 관리에 관한 조례' 제6조 등을 고려할 때 청소년·청년을 위한 회복콘서트의 사용 신청을 승인하는 것이 맞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
조례에는 사용일이 중복될 경우 우선 수리가 부여되는 것중 하나로 '어린이 및 청소년 관련 행사'를 명시하고 있다.
퀴어축제는 우리나라 최초의 동성애자 등 성 소수자 축제다. 코로나19로 온라인으로 개최한 2020·2021년을 제외하고, 2015년부터 코로나로 중단되기 전인 2019년까지 여러 단체들의 반발 속에서도 매년 서울광장에서 개최됐다.
지난해 축제 때는 1만3000여 명이 참가해 서울광장 일대에서 행진을 벌이기도 했다. 당시 동성애자인 필립 골드버그 주한 미국 대사도 참여했다.
퀴어축제는 매년 '과도한 노출', '노골적인 성적 퍼포먼스' 등으로 공개적 행사를 중단하라는 사회적 압력을 받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지난해 과도한 신체 노출 금지 등 ‘조건부’로 퀴어 축제 측에 서울광장 사용 허가를 내줬다.
이번 결정에 대해 성 소수자 차별 반대 무지개행동은 이날 “해당 조례는 ‘성별, 장애, 정치적 이념, 종교 등을 이유로 광장 사용에 차별을 두면 안 된다’고 명시돼 있다”며 서울시가 형식적인 우선순위를 내세워 성 소수자를 밀어내고 차별과 혐오로 광장을 메우려 한다”고 반발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