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정부가 우리 문화유산을 활용한 게임·메타버스 창작 지원을 위해 무료로 개방한 문화재 3차원(3D) 데이터에 중국 네티즌들이 “한옥은 우리 문화”이라고 우기며 악성 댓글을 달고 있다.
1일 게임 업계에 따르면 중국 네티즌들은 '에픽게임즈'가 운영하는 '언리얼 엔진 마켓플레이스'에 올라온 '한옥 애셋'에 평점 '1점'과 함께 "(한옥은) 한국 문화가 아닌 중국의 전통문화"라는 취지의 주장과 악성 댓글을 퍼붓고 있다.
애셋은 게임 제작에 쓰이는 모델링, 텍스처, 사운드 등의 데이터 일체를 가리킨다.
이번 '댓글 테러' 대상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문화정보원이 지난달 업로드한 조선시대 전통 건축물 '창원의 집', '제주목관아'의 3D 모델 데이터와 각종 전통 문양 이미지 등이다.
한옥 애셋은 앞서 개인 개발자들의 작품보다 완성도가 월등히 높고, 무료다운으로 게임에 적용할 수도 있어 공개 후 각국의 개발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그러나 일부 중국인들은 온라인을 통해 저속한 욕설과 함께 △한국 문화는 중국 문화의 일부 △현판과 문양에 한자가 있으니 중국의 것이라는 등을 주장하고 있다.
현재 이런 악성 댓글 중 일부는 다른 이용자의 신고로 ‘부적절한 콘텐츠로 신고돼 검토 대기 중’이라는 안내와 함께 가려진 상태다.
중국 기업이나 네티즌들이 게임 속 한국 전통문화를 자기네 것이라고 우기는 사례는 종종 발생하고 있다.
지난 2020년에는 중국 게임사 '페이퍼게임즈'가 캐릭터 옷 입히기 게임 '샤이닝니키'에 한국 출시 기념으로 한복을 추가하자 일부 중국인들이 해당 의상은 “중국 명나라 의상인 한푸(漢服)"라고 주장했다.
이에 해당 업체는 곧바로 한복 의상을 삭제하고, 공식 카페에 자국인들의 주장을 옹호하는 공지사항을 올린 뒤 서비스 두 달도 채 안 돼 한국 서버를 폐쇄했다.
올해 초에는 '음력 설(Lunar New Year)'을 중국 설(Chinese New Year)로 바꾸라는 주장도 나왔다.
지난 1월 월트디즈니의 테마파크 디즈니랜드는 공식 트위터에 '음력 설(Lunar New Year)'이라는 단어를 썼다가 중국 네티즌으로부터 "중국 설(Chinese New Year)로 바꾸라"는 악성 댓글 공격을 받았다.
이에 대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양학부 교수는 1월 19일 "'음력 설'은 한국, 베트남, 필리핀 등 아시아 국가들이 기념하는 명절이기 때문에 '음력 설'로 바꾸는 것이 맞다"며 "아시아권의 보편적인 문화가 중국만의 문화로 세계에 잘못 소개되는 것은 바로 잡아야 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