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서울퀴어문화축제조직위원회(이하 퀴어조직위)가 오는 6월 ‘2023 제24회 서울퀴어문화축제(이하 퀴어축제)’를 열겠다고 밝혀 이를 반대하는 교계 및 시민들과의 갈등이 예상된다.
퀴어조직위는 6월 22일부터 7월 9일까지 총 18일간 서울 도심과 온라인으로 퀴어축제를 열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도심 퍼레이드를 위해 6월 30일과 7월 1일 서울광장(잔디광장, 동편광장, 서편광장) 사용 신고도 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한국교회언론회(대표 이억주 목사, 이하 언론회)는 서울시가 ‘퀴어들의 서울광장 사용을 불허할 것’을 촉구했다.
언론회는 6일 논평을 통해 “(서울시는) 이번만은 음란한 동성애 행사를 불허해야 한다”며 “서울광장에서는 벌써 수년째 음란한 동성애 행사가 벌어져 시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언론회는 ‘서울특별시 서울광장의 사용 및 관리에 관한 조례’ 제6조 1항을 근거로 “서울시장은 서울광장 사용신고를 수리하지 않을 수 있다”며 밝혔다.
해당 조항의 내용은 서울광장 사용신고가 있을 경우 서울시장은 원칙적으로 수리해야 하지만, ‘광장 조성 목적 위배’ 등에 해당될 때는 열린광장운영시민위원회의 의견을 들어 신고를 수리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조직위의 서울광장 사용은 광장의 조성 목적인 ‘건전한 여가 선용’에 맞지 않는다는 것.
언론회는 조직위가 서울광장에서 동성애 행사를 계속하려는 것에 대해 “단순히 성소수자에 대한 이해를 바라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성혁명’ ‘성평등’(양성평등이 아님)을 통한 이념을 대중에게 주입하고 네오마르크스주의를 확산시키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언론회는 서울광장에서의 퀴어행사를 저지하기 위해 7월 1일 같은 시간대에 ‘청소년·청년 회복 콘서트’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서울광장에서 이미 동성애 축제는 여러 차례 시행된 바 있고, 그 행사에 대한 불편과 불만이 계속 제기되는 만큼, 이제 서울시는 청소년과 청년들의 회복을 위한 콘서트에 자리를 할애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서울시는 동성애 축제의 음란성이 드러났는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들을 위해 자리를 마련해 준다면 이는 서울시민들을 무시하고 모독하는 것이 된다”고도 강조했다.
언론회는 “2023년에는 서울시의 얼굴이요, 시민들의 건전한 놀이 장소인 서울광장이 우리나라의 다음 세대인 청소년과 청년들이 마음껏 젊음을 느끼고, 발산하고, 주눅 든 마음들을 회복하여, 건강한 나라를 만들어 가는데 일조(一助)하기 바란다.”며 서울시와 서울시장에게게 동성애 퀴어 행사 신청에 대하여 불수리(不受理)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퀴어축제는 2000년부터 열렸다. 이 행사는 대학로, 종묘공원 등을 거쳐 신촌 일대에서 나체광란 축제로 진행돼 현지 주민들이 강력히 항의했고, 2014년 서대문구청은 국가인권위원회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퀴어 행사를 더 이상 허락하지 않았다.
그러나 고박원순 서울시장은 시민들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2015년 서울광장을 퀴어행사 장소로 허가해 서울의 중심에서 관련 행사가 열리기 시작했다.
퀴어축제는 2020년과 2021년은 코로나 확산으로 온라인 행사로 진행됐지만 주최 측은 지난해 행사를 위해 서울광장 사용을 또다시 신청했다.
이에 대해 오세훈 시장은 당초 신청 기간인 6일에서 하루로 줄이고, 유해 음란물 판매·전시 등을 금지한다는 조건으로 사용을 허락했다.
하지만 정작 행사에서는 이 조건은 지켜지지 않았고, 여전히 음란성이 난무해 시민들의 항의가 빗발친 것으로 알려졌다.
기독일보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