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서울 마포구 상암동 하늘공원에 2027년 말 대관람차 '서울링'(Seoul Ring)이 들어선다. 기존 대관람차와 달리 바큇살이 없는 고리 형태로, 크기는 180m에 달한다.
서울시는 동력으로 재활용 에너지를 사용해 서울링을 서울의 관문이자 친환경 정책을 상징하는 랜드마크로 거듭나게 할 계획이다. 하늘공원은 대규모 쓰레기 매립지에서 생태 공원으로 탈바꿈한 곳이다.
시는 8일 시청에서 이런 내용의 서울링 조성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시는 지난해 10월부터 입지 후보지로 하늘공원과 노들섬, 여의도공원, 노량진 수도자재센터, 잠실종합운동장 등 다양한 장소를 검토해왔다.
그를 통해 주변 인프라가 잘 갖춰진 노들섬과 조망·상징성이 우수한 하늘공원으로 후보지로 압축됐고, 최종적으로 하늘공원이 선정됐다.
시는 하늘공원이 "서울로 들어오는 서해뱃길의 관문이자 지리적으로 북한과 가까워 남북통일 시대 새로운 관문으로서 상징성을 지닌 점을 높이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쓰레기 매립지라는 과거와 연계해 서울이 지향하는 '탄소 제로(0)'에 대한 정책적 의지도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경제포럼이 주도하는 기후행동의 세계적 상징물로 자리매김하도록 신재생 에너지 등 최신 친환경 기술도 적용할 계획이다.
서울링 규모 180m는 아랍에미리트의 아인 두바이(폭 257m)에 이어 세계 2위 규모이나 살이 없는 고리형 디자인 기준으로는 세계 최대다.
현존하는 고리형 대관람차는 중국 '보하이의 눈'이 유일하다. 보하이의 눈은 직경 125m, 전체 높이는 145m다.
서울링은 해발고도 96m인 하늘공원에 지어져 지면에서의 높이가 276m다. 63빌딩(264m)보다 12m 높다.
한 개에 25명이 탈 수 있는 캐빈(cabin) 36개로 구성돼 시간당 1천474명, 1일 최대 1만1천792명이 탈 수 있다.
서울링 조성 사업은 2025년 6월 착공해 2027년 12월 완공을 목표로 수익형 민간투자사업(BTO) 방식으로 추진된다. 사업비는 4천억원 규모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