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8.15(금)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구글, ‘김치’ 한중 번역 ‘파오차이(泡菜)’... 시정 요구 외면

디지털뉴스팀  |  2023-01-10
인쇄하기-새창
[SOH] 구글 번역기에서 한국어로 '김치'나 ‘김장문화’ 등을 입력하면 중국어로 ‘파오차이(泡菜)’, ‘파오차이문화(泡菜文化)’로 번역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 번역기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타냈지만, 언론 등에서 지적이 나오자 우리 정부가 지정한 표기로 수정했다.

중국의 문화공정에 대해 우리 문화 지키기에 앞장서고 있는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지난 5일 소셜미디어에서 "세계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구글 번역기와 네이버 파파고에서 '김장문화'라는 단어를 넣으면 중국어로 '泡菜文化'라는 결과가 나온다"고 밝혔다.

유네스코는 2013년 12월 5일 함께 김치를 담그고 나누는 우리나라의 '김장문화'를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올렸다. 

파오차이는 중국 쓰촨(四川)성 지역의 채소 절임 음식을 뜻하는 것으로 김치와는 완전히 다르다. 그러나 중국은 우리 김치를 '한궈파오차이'(韓國泡菜)라고 부르며 자국이 원조라고 주장하고 있다.

서 교수는 "김치와 파오차이는 엄연히 다른 음식이지만, 중국은 최근 우리의 문화적 아이콘인 김치를 파오차이에서 유래했다고 계속 알리고 있다"며 "이럴수록 우리는 기본적인 김치의 표기와 번역부터 올바르게 고쳐 나가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김장문화의 중국어 번역을 '辛奇文化'(신치문화)로 바꿀 수 있도록 구글과 네이버에 요청할 것을 네티즌들에게 당부했다.

네이버는 이날 오전(9시 30분경) 파파고의 '김치', ‘김장문화’ 번역 결과를 ‘辛奇’, '辛奇文化'로 변경했지만 구글은 수정하지 않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해 7월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을 개정해 '김치'의 올바른 중국어 표기를 '辛奇'(신치)로 명시했다.

/ 연합뉴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068 대구 이슬람사원 건축 반대 지지 집회... 전국서 5천여 ....
디지털뉴스팀
23-05-29
1067 제3회 서울락스퍼국제영화제 6월 1~6일 개최
디지털뉴스팀
23-05-24
1066 인권위, 성소수 수용자 독거수용 요구 포용... 교도소에....
디지털뉴스팀
23-05-23
1065 강원도, 춘천 중도유적 지지 단체 농성장 강제 철거
디지털뉴스팀
23-05-19
1064 서울시 다자녀 기준·혜택 완화... 3명→2명, 13세 이하→1....
디지털뉴스팀
23-05-18
1063 윤석열 대통령, 간호법 제동... “국민 건강 불안감 · 의....
디지털뉴스팀
23-05-16
1062 제24회 세계 파룬따파의 날 및 홍전 31주년 경축 행사
한상진 기자
23-05-08
1061 韓 청년 10명 중 4명 性 인식... “동성애는 성적 취향”
디지털뉴스팀
23-05-05
1060 대구 ‘이슬람 사원’ 갈등, 공사 재개로 UP... 주민들 “....
디지털뉴스팀
23-05-02
1059 中 네티즌, 문화 시비... 이번엔 ‘한옥’
디지털뉴스팀
23-05-01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50,497,769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