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5.17(토)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中 군함, 韓 해역 침범 매년 증가

디지털뉴스팀  |  2022-10-04
인쇄하기-새창

[SOH] 중국 해군의 우리 측 관할 해역 침입이 매년 잦아지고 있어 해역 자주 방어 능력을 키워야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관할 해역이란 연안국이 주권 또는 배타적 관할권을 행사하는 구역으로, 영해·배타적경제수역(EEZ) 등을 말한다. 

9월 26일 국방부 국방정보본부가 국민의힘 임병헌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 간 우리 측 관할 해역 안에 진입·활동한 중국 군함이 2018년 230척에서 지난해 260척인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의 경우도 지난 8월 말 기준 170척에 이른다. 


해역별로 구분해보면, 올해 기준 남해가 110척으로 가장 많았고, 서해 50여 척, 동해에 10여 척의 중국 군함이 침입했다. 

이에 대해 임병헌 의원은 “중국 해군이 한반도 전역을 포위하고 압박하는 양상”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집계는 중국 군함이 항해 중 우리 관할 해역을 수시로 넘나드는 경우가 많아 진입 횟수가 아닌 진입 군함 수로 집계됐다. 

국방정보본부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근해 방어, 원해호위’의 전략 목표를 내세워 병력과 항모, 구축함 등 주요 전력 증강을 통해 작전 능력을 강화하고 있다. 

올해 중국 해군 병력은 2017년 23만5000명에서 올해 26만명으로 늘었으며 항공모함도 2021년 1척을 늘려 현재 2척이다. 구축함은 2017년 21척이었지만, 현재 39척으로 늘었다. 국방비도 같은 기간 663억 달러 급증했다.

임 의원은 “미·중 갈등과 중·일, 중국과 대만 등 군사적 갈등이 고조되고 있어 국민적 우려가 크다”면서 “우리도 중항모 도입, 함정의 장러기 탄도미사일 탑재능력 확충을 통해 우리 해역을 자주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 해군은 중국 군함 침범에 대해 역내 관할 해역 외곽에서 군함 활동을 하는 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합동참모본부의 대응전략도 함정이나 항공기를 이용해 중국 군함을 감시·추적하거나, 직통망을 이용해 우발적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위기완화 조치를 병행하는 수준이다. 

또한 우리 영해로 진입할 경우에도 국제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경고 및 차단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475 경북 영양, 인구 절벽 위기에 ‘미얀마 난민’ 유치 추진
디지털뉴스팀
25-03-14
1474 헌재, 감사원장·검사 3인 탄핵 전원일치 기각
디지털뉴스팀
25-03-13
1473 중국발 미세먼지·황사 공습... 전국 곳곳 대기질 '빨간불'..
디지털뉴스팀
25-03-13
1472 산업은행, 中 일대일로에 1900억원 투자... '하이난그룹....
디지털뉴스팀
25-03-12
1471 800여 기독·시민단체... ‘성중립화장실 합법화’ 철회 촉....
디지털뉴스팀
25-03-11
1470 韓 노령연금 받는 외국인, 중국인 최다... 작년 101억원....
디지털뉴스팀
25-03-11
1469 국민이 꼽은 최고 '사회갈등'은... 진보·보수 대립
디지털뉴스팀
25-03-06
1468 韓제조업, 中 ‘원산지 세탁’ 기지화 우려↑
디지털뉴스팀
25-03-04
1467 제주평화인권헌장 추진 논란... 기독·시민단체 “차금법 ....
디지털뉴스팀
25-02-28
1466 신학기 학용품 中직구 주의... ‘납 231배 초과’ 등 유해....
디지털뉴스팀
25-02-27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6,562,266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