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뒤 발생한 간 기능 이상 부작용의 실마리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앞서 4월 공개된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생긴 T세포가 간 손상을 유발하고 자가면역 간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독일 프라이부르크대 연구팀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하는 국내 첫 사례다.
특히 백신 접종 후 자가면역성간염과 원발성담즙성 담관염이 동시 발생하는 간 중복증후군(Overlap syndrome)은 세계 첫 보고이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성필수·인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이순규 교수팀은 코로나 백신을 접종한 환자의 간 조직검사 결과, 자가면역간질환을 일으키는 T세포가 발현됐음을 증명했다고 1일 밝혔다.
환자는 기저질환이나 술, 간 질환 약을 복용한 이력이 없는 57세 여성으로,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으로 1회차 접종자다.
이 여성은 접종 2주 후 피곤함과 전반적으로 기력이 약해져 병원을 찾았고 신체검사 결과는 정상이었다.
평소 정기 건강검진에서 간 기능 수치가 정상이었지만, 이번 내원에서 시행한 혈액검사 결과, 간 질환을 진단하는 간 수치들의 상승소견이 확인됐다.
원인감별을 위해 시행한 검사에서 바이러스성 간염 검사결과들은 음성이었고, 간 초음파에서도 특이소견은 없었다.
반면 자가항체 검사에서 항핵항체 양성, 항미토콘드리아 항체 양성을 보여 간중복증후군을 포함하는 자가면역 간질환의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했다.
이후 간 조직 생검 결과에서 면역세포인 T세포가 간문맥에 집중되며 침윤을 일으키고 간 조직을 괴사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형질세포의 침윤, 조각괴사와 간문맥의 염증과 괴사가 문맥 주변까지 확장되는 계면간염 및 비화농성 담관염소견을 보여 자가면역간질환의 세부질환인 자가면역성간염과 원발성 담즙성 담관염이 동시에 진행되는 간 중복증후군임을 확인했다.
자가면역성 간염은 뚜렷한 이유 없이 지속적인 간세포 손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발병 초기는 피로감, 오심, 구토, 식욕 부진이 나타난다.
황달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일부 환자는 증상이 전혀 없기도 해 초기에 발견하지 못하고 부종, 혈액응고 장애, 정맥류 출혈과 같은 합병증이 진행된 후 병원을 찾는 사람도 있다.
원발성담즙성 담관염은 간기능이 전반적으로 저하되는 간경변증으로 진행하는 질환이다.
환자는 간 중복증후군의 진단기준에 부합해 고용량 우르소데옥시콜산(UDCA) 등을 투여받고 2주 만에 정상 간수치를 회복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환자는 백신 접종 이후 발생한 간 중복증후군이 보고된 최초의 사례이기도 하다.
이순규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백신 이후 면역반응에 의한 간 손상, 간기능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기전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며 “환자 진료 시에 자세한 문진과 검사를 통해 이를 감별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간장학 저널(Journal of Hepatology)’에 보고됐다.
이연화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