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5.14(수)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비혼·만혼 증가로 성인 남녀 10명 중 3명, 부모와 동거

디지털뉴스팀  |  2022-07-19
인쇄하기-새창

[SOH] 우리나라에서 50세 이하 성인 30%가 독립하지 않고 부모와 동거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선 결혼이 독립의 가장 큰 유인이다. 미혼인 사람이 부모와 동거하는 비율은 기혼자의 20배에 달한다고 한다.

지난달 2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만 19∼49세 성인 남녀 중 29.9%는 부모와 동거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결혼 여부, 취업 여부로 보면 미혼자의 64.1%, 비취업자의 43.6%가 부모와 동거하고 있었다. 반면 기혼자의 동거율은 3.2%, 취업자의 동거율은 23.5%로 매우 낮았다.

이 같은 통계 결과는 부모로부터 독립한 주된 이유에 '결혼을 해서'(36.4%)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던 것과도 상통한다. 이밖에  '학교와의 거리가 멀어서'(28.0%), '직장과의 거리가 멀어서'(20.9%) 등이 뒤를 이었다.

미혼 여성이 부모와 동거하는 비율은 69.0%로, 미혼 남성(60.9%)보다 다소 높았다.

연구팀은 미취업 상태일수록,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동거 비율이 높은 경향도 나타났다면서 "부모의 집을 떠나 주거 독립을 하기 위해서는 사회문화적 승인과 경제적 자원 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해석했다. 

이번 조사에서 '독립'은 만 18세 이후 군 입대를 제외하고 6개월 이상 부모와 떨어져 산 것을 의미한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해 9천999가구, 1만4천538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가족과 출산 조사'를 바탕으로 부모와의 동거, 경제적 자립 등의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이번 조사에서 30대 후반, 40대에서도 '독립경험이 없다'는 응답이 4∼5%에 달하는 점도 발견됐다. 35∼39세가 독립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5.9%, 40∼44세는 4.2%, 45∼49세는 4.0%였다.

연구팀은 "최근의 만혼과 비혼 확산이 주거 독립 시기를 늦추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주거 독립 연령이 10대 후반에서 30대 후반까지 넓게 퍼져 있어 성인 자녀가 부모의 집을 떠나는 것이 특정 연령대에 정해져 있다기보다는 취업이나 결혼 등의 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 펜앤드마이크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1454 세계로 확산하는 ‘딥시크’ 규제... 한국은?
디지털뉴스팀
25-02-06
1453 이재명 ‘민생 현안 우클릭’... 오세훈 “국민 안 속아”
디지털뉴스팀
25-02-05
1450 민주당, 이재명표 ‘지역화폐법’ 재발의... 조기 대선 시....
디지털뉴스팀
25-02-03
1449 지난해 ‘외국인 지하철 무임승차’ 수도권만 80만↑... 대....
디지털뉴스팀
25-02-03
1448 홈플러스 '윤석열 탄핵' 뱃지 착용... 고객 항의 빗발치....
디지털뉴스팀
25-02-02
1447 정진석, 尹 대통령 접견...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의연....
디지털뉴스팀
25-01-31
1446 국내 제조업, 중국발 저가 공세에 휘청... 피해 장기화 ....
디지털뉴스팀
25-01-31
1445 지난해 근로자 임금체불액·대지급금 역대 최다
디지털뉴스팀
25-01-28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6,426,771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