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매체가 김치에 대한 비하성 보도로 눈총을 받았다.
환구시보는 지난 9일 랴오닝 사회과학원 수석연구원 발언을 인용해 “중국인들의 눈에는 단순한 반찬인 김치가 한국인들의 눈에만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발명품”이라며 한국인을 조롱하는 듯한 보도를 했다.
이에 한국 홍보 전문가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12일 자신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그런데 왜 ‘단순한 반찬’을 중국은 빼앗으려 하냐”면서 “한국인들은 최소한 다른 나라의 가장 중요한 발명품을 훔치려 들지 않는다. 이 점이 바로 한국인과 중국인의 가장 큰 차이”라고 일갈했다.
서 교수는 이어 환구시보의 보도는 최근 국내 언론들이 보도한 '한국 김치의 수출이 지난해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는 내용과 관련 있다고 풀이했다.
언론들은 △중공 바이러스(코로나19) 팬데믹 △중국산 김치의 위생 문제 등을 한국산 김치 수요 증가 원인으로 꼽았다.
중국산 김치의 위생 문제는 지난 3월 논란이 된 ‘알몸 김치’ 영상으로 불거졌다. 해당 영상에는 비위생적으로 보이는 공간에서 한 중국 남성이 옷을 벗고 수조에 들어가 발로 배추를 밟으며 절이는 모습이 담겼다.
중국은 김치 문제로 한국과 여러 차례 마찰을 빚고 있다.
서 교수는 2020년 12월 중국 바이두(百度) 백과사전에서 '한국 김치는 중국에서 유래됐다'는 부분에 대해 항의하며 시정을 요구했다.
서 교수는 당시 상황에 대해 “바이두 백과사전의 왜곡된 문장을 바르게 수정하기 위해 항의 메일과 김치 관련 자료집을 보냈다”고 했다.
이어 “요청 후 해당 문장은 사라졌지만 얼마 후 ‘김치는 삼국시대 중국에서 유래됐다’는 왜곡 내용이 삽입됐다”고 말했다.
바이두는 지금까지 김치에 대한 정보를 네티즌들이 수정 또는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을 막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서 교수는 “역사적, 문화적 근거를 가진 논리적인 반박에 대응할 수 없어 회피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환구시보의 비하성 기사에 대해 “앞으로 김치 관련 보도를 할 때는 감정적으로 대하지 말고 김치의 역사적·문화적 팩트를 정확히 조사한 뒤 기사화하길 바란다”고 꼬집었다.
강주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