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국립중앙박물관이 게시한 디지털 지도에 중국의 동북공정 내용이 담겨 논란이 일고 있다.
민병찬 관장은 지난 7일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배현진 국민의힘 의원으로부터 '국립중앙박물관이 동북공정 시각이 담긴 전시를 50만 명이 관람하도록 방치했다'는 지적을 받고 이를 인정하고 사과했다.
앞서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중국실에 전시된 6분 분량의 영상이 중국 동북공정 주장과 같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문제의 디지털 지도는 지난 3월부터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중국실에 전시됐다. 중국 위진남북조 시대부터 명나라까지 중국 영토를 표시한 6분 길이의 영상이었다.
해당 영상에는 삼국지 시대 중국 위나라가 3세기 백제와 마한이 있던 한반도 북부와 충청도 일대까지 다스린 것으로 표시된 지도가 실렸다. 또 지도에는 한나라가 한강 이북지역까지 지배했고, 명나라는 만주지역까지 지배했다고 나와 있다.
이 영상 제작에는 1억2000만원의 예산이 투입됐으나 외부 전문가의 감수조차 받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올해 박물관 내부 학예직 전문인력 90명 중 누구도 이 오류를 발견하지 못했다.
배의원은 이날 국정감사 자리에서 “위나라가 우리나라 충청 지역까지 지배하고, 한나라가 한강 이북까지 지배한 것을 표기했다. 또 명나라가 만주지역을 지배했다고 표기했다”며 “이는 명확한 동북공정 지도”라고 지적했다.
이어 “박물관 전시를 하면서 50만명이 관람할 때까지, 국회의원이 지적할 때까지 몰랐다는 것이 상식적으로 가능한 일이냐”고 질책했다. 전시 기간 박물관을 찾은 인원은 약 57만명으로 집계됐다.
배의원은 또 이에 대해 배 의원은 “위나라가 충청지역까지 지배하고 있다는 지도인데, 올해 학예직 전문 인력이 90명이나 되는데도 누구도 이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게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민병찬 국립중앙박물관장은 “디지털 영상이라 순간순간 넘어가 집중하지 못해 거르지 못했던 것 같다”며,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겠다”고 해명했다.
배의원은 “지난해 친일 논란에 이어 올해는 동북공정으로 친중 파문까지, 중앙박물관이 역사 왜곡을 자초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지난해 국감에서도 일본의 식민사관을 그대로 반영한 가야사 전시로 역사 왜곡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한지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