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알몸 김치’ 파문으로 비위생성 논란이 커지면서 급감했던 중국산 김치 수입량이 5월 들어 반등했다고 한국일보 등이 보도했다.
17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수입식품정보마루'에 따르면 5월 중국산 김치 수입량은 2만 1918t로 전월 대비 21.6%나 급증했다.
중국산 김치 수입은 지난 3월 2만 6125t에서 4월 1만 8025t로 4년 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한 달 만에 반등한 것이다.
중국산 김치는 지난 3월 성인 남성이 알몸으로 배추를 절이는 영상이 공개된 후 소비자들의 집중 포화를 맞았다.
이후 중국산 김치의 통관 단계 검사에서 식중독균인 ‘여니시아’가 검출된 제품들이 적발됐고, 절임 배추 일부 제품에서 이산화황, 데히드로초산 등 국내에서 금지된 보존료가 검출된 사실도 확인됐다.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중국산 김치에 대한 거부감과 기피 현상이 커졌고 수입량이 급감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소비자들은 중국산 김치를 쓰는 식당에 가지 않거나 중국산 김치 취식을 거부하는 등의 방식으로 불매운동을 벌였다.
하지만 5월부터 수입이 다시 반등하면서 불매운동의 동력이 상실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식품·외식 업계에서는 중국산 김치와 국산 김치의 압도적인 가격 차이가 이같은 결과를 낸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김치와 중국산 김치 1kg당 제조 단가는 각각 863원, 2,872원으로 3배 정도 차이가 난다.
중국산 김치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은 여전하지만 외식업계에서는 가격 문제로 국산을 선택하기 힘들다고 호소한다.
소비자들이 불매운동을 벌이더라도 실제 수요처인 식당 등에서 중국산 김치를 국산으로 바꾸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중국산 김치에 대한 철저한 관리·감독 강화로 국민들의 불안감을 낮추는 것이 가장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강주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