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알몸 김치'로 중국산 김치 위생 안전이 논란이 된 가운데, 중국산 김치 289개 제품 중 15개 제품에서 식중독균이 검출됐다.
18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안전성 확보를 위해 지난 3월 12일부터 지난 7일까지 실시된 김치 등 수입식품 통관 및 유통단계 검사 강화 조치에 대한 결과를 발표했다.
55개 제조업소에서 수입 신고한 중국산 김치 289개 제품을 대상으로 보존료와 타르색소, 식중독균인 여시니아엔테로콜리티카(여시니아) 등 5개 항목을 검사한 결과, 15개 제품(11개 제조업소)에서는 식중독균인 '여시니엔테로콜리티카'(이하 여시니아)가 검출돼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여시니아는 0~5도의 저온에서도 자라는 식중독균으로 이 균에 감염되면 설사, 복통, 두통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명은 각각 ▲배추김치 ▲박향미 대박김치 ▲서진김치 ▲초향김치 ▲해인김치 ▲민수네 김치 ▲맛기찬 트러스터 김치 ▲한길김치 ▲한아름 일품 김치 ▲고랭지김치 ▲들녘김치 ▲산골김치 ▲선인배추김치 등이다.
또한 절임배추 4개 제품 중 1개 업소의 2개 제품에서는 보존료인 '데하이드로초산'이 검출됐고, 국내에 유통 중인 중국산 다진 마늘에서는 세균수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제품도 적발됐다. 데하이드로초산은 국내에서 사용이 금지된 보존료다.
식약처는 전날부터 국내 최초로 수입되는 모든 김치의 검사항목에 여시니아 검사를 추가했다. 또 여시니아가 2회 이상 검출된 5개 해외 제조업소 김치를 검사명령 대상품목으로 지정해 정밀검사를 받은 뒤에야 수입을 허가하기로 했다.
이번 검사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의 정보는 수입식품정보마루(impfood.mfds.go.kr → 안전정보 → 수입식품부적합)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중국의 김치공장에서 녹슨 포크레인과 한 남성이 알몸으로 김치를 절이는 비위생적인 영상이 공개돼 중국산 김치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이 커지고 있다.
강주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