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중국이 자국 환경 오염 등을 이유로 올해부터 ‘재활용 쓰레기’ 수입을 보이콧 하면서 비닐과 스티로폼을 중심으로 ‘재활용 쓰레기 대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최근 폐지시장도 가격하락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용 업계 인터넷 커뮤니티 ‘고물 연대’에 따르면 난 6일 전국 평균 폐지 시세는 ㎏당 신문지 80원, 폐골판지 70원으로, 지난 1월 중순 시세(㎏당 신문지 150원, 폐골판지 140원)에 비해 약 50% 폭락했다.
우리나라의 대중국 폐지 수출량은 1∼2월을 기준으로 작년 5만1천832t에서 올해 3만803t으로 40.6% 감소했다.
이 같은 상황으로 폐지가격이 급락하면서, 폐지를 주워 고물상에 내다 파는 노인들은 하루에 1천 원을 벌기도 힘든 상황이다.
중국으로의 쓰레기 수출이 막히면서, 미국, 일본, 유럽 등의 쓰레기가 국내로 유입되고 있는 것도 국내 ‘재활용 쓰레기 대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경기도 포천시에서 재활용품 회수·선별 업체를 운영하는 김 모 대표는 “국내에서는 오염된 상태로 종이를 분리 배출하다 보니 외국에서 들여오는 폐지보다 질이 떨어져, 수거 선별 과정에서 매우 불리한 입장”이라고 말했다.
수거된 폐지는 압축장으로 옮겨져 일정 과정을 통해 폐지를 처리한 뒤 제지회사에 납품하는데, 제지회사 입장에서는 품질이 더 좋은 외국 폐지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국내 폐지가)설 곳이 없어지니 매출액이 뚝 떨어져 작년 이맘때 한 달에 최대 2억 원까지 벌었으나 지난달에는 8천만 원으로 줄었다. 우리 같은 업체들은 그나마 아파트를 상대해서 사정이 좀 낫지만, 거리에서 폐지를 수거하시는 노인들은 하루 수입이 1만 원에서 1천 원으로 줄었다”고 덧붙였다.
‘국내 재활용 쓰레기 대란’에 대해 환경부는 △폐지 등 수입 물량이 증가하는 재활용 품목은 외국산이 아닌 국산 물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촉진 방안을 마련, △제지회사에 대한 국산 원료 적정 사용 여부에 관한 실태 조사 및 국산 원료 사용 의무화 제도 개선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관련 업계와 시민들은 해외 폐기물 수입에 대한 정부의 느슨한 규제를 지적하며, 이로 인해 야기되는 국내 재활용 시장 혼란을 진정시킬 수 있도록 관련법을 조속히 마련할 것을 촉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곽제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