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재활용업체들의 수거 거부로 이달 1일부터 예고됐던 서울 및 수도권의 아파트 등 공공주택의 ‘폐비닐·폐스티로폼 수거 중단’ 사태가 일단 진정됐다.
이번 사태는 중국이 환경오염 등을 이유로 지난해 말부터 폐플라스틱, 폐금속, 폐지, 폐방직물 등 고체 폐기물 24종의 수입을 중단함에 따라 수출길이 막힌 국내 재활용품 수거 업체가 폐비닐과 스티로폼 수거를 거부하면서 불거졌다.
수출길이 막히면서 국내 재활용업체들의 올해 1~2월 PET파쇄품 등 폐플라스틱 수출량은 1만625t으로 전년 3만542t에 비해 65.2%가 감소했으며, 특히 같은 기간 중국발 수출량은 2만2097t에서 1774t으로 92.0% 급감했다.
일부 재활용 수거가 중단되면서 일부 아파트 단지에서는 비닐과 스티로폼을 종량제 봉투에 넣어 버리라는 공문을 자구책으로 내걸었지만, 현행법상 재활용품을 종량제 봉투를 통해 버리는 것은 불법이다.
2일 환경부는 국산 폐자원 수출량 감소, 재활용 시장 위축으로 인한 재활용품 가격하락을 고려해 재활용업체 지원 및 재활용시장 안정화 대책 등을 세우기로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비닐류 외에 폐플라스틱, 폐지 등도 향후 잠재적으로 재활용 쓰레기 수거 대란이 재발될 수 있는 만큼 종합적인 생활폐기물 관리 방안이 확실히 마련 돼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사진: NEWSIS)
한지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