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OH] 한국이 빠르게 늙어가고 있다. 지난 2000년 ‘고령화사회’로 들어선 지 17년 만에 ‘고령사회’로 진입했기 때문이다.
3일 행정안전부(행안부)는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4%에 도달해 유엔이 정한 ‘고령사회’에 처음 진입했다”고 밝혔다.
행안부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5175만3820명으로, 이 가운데 65세 이상이 전체의 14.02%인 725만7288명을 기록했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한다.
65세 이상 인구는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시스템으로 집계한 후 2008년 506만9000여명(10.2%)에서 2010년 550만6000여명(10.9%), 2012년 598만여명(11.7%), 2014년 652만여명(12.7%), 2016년 699만5000여명(13.5%)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도시별로는 전남이 초고령사회 기준인 20%를 유일하게 돌파해 21.4%로 집계됐고, 경북과 전북이 18.8%로 초고령사회를 목전에 둔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각각 세종이 9.7%, 울산이 9.8%으로 파악됐다.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박정진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