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대만 문제로 중국과 갈등 중인 유럽 발트국가 리투아니아가 ‘검열 기능 탑재’, ‘보안 결함’ 등을 이유로 중국산 스마트폰 사용을 중단할 것을 권고했다.
23일 세계일보에 따르면, 전날 다유신문(多維新聞)은 리투아니아 국방부 산하 사이버보안 기구가 21일 발표한 보고서를 인용해 “중국 전자기기 업체 샤오미의 ‘미 10T’ 등 신형 기종에서 특정 단어를 검열하는 소프트웨어를 발견했다”며 중국산 스마트폰 사용을 멈추고 폐기할 것을 권고했다고 밝혔다.
검열 대상 단어는 ‘민주주의 운동’, ‘대만 독립 만세’, ‘티베트에 자유를’ 등 449개이며, 이 소프트웨어는 스마트폰의 시스템 앱(app) 속에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리투아니아 사이버보안 당국은 검열 단어 명단은 업데이트를 통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이 기능은 유럽연합(EU) 내에선 가동되지 않고 있었지만, 리투아니아 국방부는 “언제든지 원격으로 작동할 수 있는 형태”라고 당국은 설명했다.
보고서는 “샤오미의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기기 이용 정보를 싱가포르의 한 서버로 지속적으로 보내고 있었다”면서,“샤오미의 장비를 사용하는 모든 국가는 주의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마르기리스 아브케비시우스 리투아니아 국방부 차관은 “중국산 스마트폰을 사지 말고, 이미 샀다면 최대한 빨리(as fast as reasonably possible) 버릴 것을 권고한다”고 말했다.
다른 중국산 스마트폰도 결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고서는 화웨이의 ‘P40 5G’ 스마트폰에는 사이버 보안 결함이 있다며, “화웨이의 앱스토어(앱 장터)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앱이 포함된 또 다른 앱스토어로 사용자를 유인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리투아니아 국방부 이번 보고서는 리투아니아 정부가 대만 무역 대표부 설치 문제로 중국과 갈등이 악화된 가운데 나온 것이라고 전했다.
유럽 내 대표적 반중 국가인 리투아니아는 지난 7월 유럽 국가 중에선 처음으로 대만 대표부를 개설한 이후 중국과 갈등을 빚고 있다.
그간 중국 정부는 ‘하나의 중국’을 강조하며 대만과의 관계를 양국(兩國)이 아닌 양안(兩岸)으로 지칭해왔다.
‘하나의 중국’은 중국이 대만을 외교적으로 고립시키기 위해 대내외적으로 주장하고 있는 방침 중 하나다.
이에 따라 중국과 수교한 나라들은 대만을 공식 표기할 때 국가 명칭이 아닌 도시의 명칭(타이베이·Taipei)으로 대체하며 공관을 둘 때도 대사관이 아닌 무역 대표처 등으로 불러왔다.
중국 정부는 리투아니아의 대만 대표부 개설에 대한 반발로 지난 8월 리투아니아 내 중국 대사를 자국으로 소환한 데 이어 리투아니아행 화물 열차 운행을 중단하는 등 보복에 나섰다.
한편, 샤오미와 화웨이는 리투아니아 국방부의 보고서 내용을 부인했다. 샤오미는 △사용자의 통신내용을 검열하지 않았다고 주장했고 화웨이도 △제품이 판매되는 국가의 법과 규정을 준수하고 △사이버 보안과 프라이버시를 최우선으로 한다고 밝혔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