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04(금)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글로벌 금융권 '기후금융 협의체' 탈퇴 러시... 트럼프 효과?

김주혁 기자  |  2025-01-22
인쇄하기-새창
[SOH] 글로벌 금융권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반(反)기후변화 기조에 맞춰 탄소중립을 위한 은행 연합체 탈퇴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9일(이하 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은 관계자를 인용, 유럽 최대 은행들이 미국에 이어 탄소중립은행연합(NZBA) 탈퇴를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디. 

NZBA는 한때 140개 이상 은행이 참여했지만 작년 말부터 힘을 잃고 있다. 골드만삭스, 웰스파고, 씨티그룹, 뱅크오브아메리카(BoA), JP모간체이스 등 미국 대형 은행이 지난해 11월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줄줄이 이탈하면서다. 

몬트리올 은행과 TD은행을 포함한 캐나다 지역 금융사 4곳도 17일을 기점으로 탈퇴 의사를 발표했다. 

NZBA는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결성된 은행 간 연합체다. 2021년 유엔 주도로 결성됐다. 화석연료산업에 금융 지원을 축소하기 위해 은행들이 석유·가스 투자 정보를 공개하고 금융 배출량(금융기관의 투자·대출이 간접적으로 기여한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를 공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NZBA에는 2025년 1월 기준 44개국 137개 은행이 소속돼 있다. 한국은 5대 금융그룹(KB·신한·하나·우리·NH) 및 산업은행과 JB금융이 포함됐다. 

글로벌 금융권의 탈(脫)탄소 움직임은 트럼프 대통령과 미 공화당의 반(反)ESG(환경·사회·지배구조) 공격을 피하기 위한 의도로 분석된다.

미 공화당은 NZBA 소속 금융사들에 ESG 전략에 문제를 제기하며, 금융사의 석유 및 가스 산업에 대한 정책 검토 및 처벌을 예고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보다 기후변화 대응에 적극적인 유럽 은행마저 발을 뺀다면 NZBA는 사실상 해체 절차를 밟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주혁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2848 트럼프, “브릭스 달러 패권시 100% 관세”
디지털뉴스팀
25-02-01
2847 尹 탄핵 반대하는 美동포들... 유력지 ‘더힐’에 구명 광고..
디지털뉴스팀
25-01-31
2846 오픈AI·MS, 中 '딥시크' 조사... “데이터 무단 도용”
도현준 기자
25-01-31
2845 美 국무장관 후보 "中, 美 최대 위협“... ”속임수·도둑....
디지털뉴스팀
25-01-30
2844 필리핀 中간첩 기승... 군 기지, 주요 인프라 정탐 및 ....
디지털뉴스팀
25-01-30
2843 미 하원, ‘中 최혜국 대우 지위 철회’법 발의
디지털뉴스팀
25-01-25
2842 글로벌 금융권 '기후금융 협의체' 탈퇴 러시... 트럼프 ....
김주혁 기자
25-01-22
2841 트럼프 美 정책 대전환 시작?... 취임 후 100개 행정명....
디지털뉴스팀
25-01-21
2840 프랑스 다큐, "中 비밀 전쟁" 폭로... "광범위한 핵심 ....
디지털뉴스팀
25-01-21
2839 교황청, 동성애자 신학교 입학 허용... “순결한 동성애....
이연화 기자
25-01-20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4,634,321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