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스트리밍 서비스를 운영하는 ‘빅테크’ 기업들이 과도하게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내외 보도에 따르면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는 지난 19일(현지시간) 메타(페이스북‧인스타그램), 구글(유튜브), 틱톡, 트위치, 레딧, X(구 트위터), 스냅챗, 디스코드 등 9개 기업 13개 플랫폼의 이용자 데이터 수집 및 사용 방법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 다수의 SNS 플랫폼과 스트리밍 서비스가 고객의 개인 정보를 활용하여 수익화하기 위한 광범위한 감시에 참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런 감시는 성인 뿐 아니라 어린이와 청소년 사용자에 대해서도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보고서는 FTC가 2019~2020년, 빅테크의 사용자 정보 수집, 사용 및 보관 자료를 조사한 결과다.
조사 대상에는 아마존이 운영하는 스트리밍 서비스 트위치를 비롯해 레딧, 스냅챗, 디스코드 등 미국에서 이용자들이 즐겨 쓰는 SNS와 스트리밍 서비스도 포함됐다.
FTC는 “이들 플랫폼는 대부분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특정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광고에 개인 정보를 제공해 수익을 올렸으며, 이 대상에는 어린이와 청소년 정보도 포함됐다”고 했다.
빅테크들은 또한 개인 정보 브로커를 통해 서비스 이용자가 아닌 사람들의 정보도 구입했으며, 다른 서비스에 연결된 계정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기도 했다. 여기에는 이용자의 연령, 성별, 사용하는 언어 정보는 물론, 교육과 소득, 결혼 여부 등이 포함됐다.
대부분의 플랫폼에서는 이용자들이 쉽게 개인 정보 수집을 거부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지 않았다. 반면 민감한 정보는 이용자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장기간 보관되는 경우도 많았다.
이들의 정보 수집 대상엔 어린이와 청소년도 포함됐다. 대부분의 빅테크는 13세 미만 이용자를 차단한다고 했지만, 실제는 많은 앱에서 청소년은 성인처럼 취급돼 동일한 개인 정보 수집 대상이 됐다.
‘뉴욕타임스(NYT)’는 "빅테크는 개인정보 남용에 대한 집중적인 조사를 받고 있고 SNS와 스마트폰은 청소년과 어린이의 정신 건강에 해를 끼친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며 "더 엄격한 개인정보 보호와 어린이 보호를 위한 여러 제안이 있었지만, 그동안 빅테크 규제를 위한 입법 시도는 대부분 실패했다"고 전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FTC가 공개적으로 비판한 만큼 빅테크에 대한 규제 수위가 한층 높아질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이연화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