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중국공산당)이 유엔 회의에서 신장 위구르족의 자유 확대 등 서방이 주도한 인권 개혁 권고안을 거부했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지난 4일(현지시각)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 회의에서 중국의 인권 개선 노력에 대한 검토가 이뤄졌다.
이 검토는 ‘중국 신장 지역의 위구르족 및 무슬림 구금이 반인도 범죄에 해당할 수 있다’는 유엔의 2022년 보고서 내용에 근거했다.
모로코 대표인 마르 즈니버 의장은 중국이 유엔으로부터 제안받은 400여 건의 개혁 권고안 중 70%를 수용했다고 평가했지만, 서방 대표들은 인권탄압에 관한 부분은 개선되지 않았다면서 ‘오해의 소지가 있는 수치’라고 비판했다.
인권위 미국 대표 미셸 테일러는 “다수 위구르족이 거주하는 신장에서는 집단학살과 반인륜 범죄가 지속되고 있다”며 “중국은 인권과 기본적 자유를 존중하라는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요구에도 관련 조치를 거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영국도 같은 입장을 나타냈다. 영국 대표 사이먼 맨리는 “중국은 영국의 권고안을 모두 거부했다”며 “중국 정부는 심각한 인권 침해가 일어나고 있음을 부인했고, (유엔의) 신장 지역에 관한 공신력 있는 평가를 ‘불법적이고 무효’라고 주장했다”고 지적했다.
반면, 중국의 우방인 러시아 대표와 감비아 대표 등은 “건설적인 접근”이라며 중국을 두둔했다.
감비아는 아프리카 서해안에 위치한 국가로, 2013년 영연방을 탈퇴하고 2016년 중국과의 외교관계를 20년 만에 재개했다. 2018년에는 중국의 일대일로(경제벨트 구상)에 참여, 교각과 다리를 건설했다.
중국은 자국민인 파룬궁 수련자에 대한 탄압을 비롯, 신장과 티베트 등 소수민족에 대한 인권 유린을 자행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판과 중지 요구를 수용하지 않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 중국 대표인 천 쉬는 “중국의 인권 분야는 지속적으로 진전, 발전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서방의 권고안에 대해 “허위 정보에 근거했다”면서 “정치적·이념적으로 편향됐고, 중국의 주권을 간섭한다”고 반발했다.
이날 외신들은 ‘중국의 유엔 권고 70% 수용’이라는 발표에 대해 관계자 발언을 인용, “중국 측 로비의 결과물”이라고 전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중국은 이번 유엔 인권이사회를 앞두고 비서방 국가 대표들을 접촉해 “건설적인 권고를 해달라”며 권고안 수용률이 높게 나오도록 로비를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지난 2022년 유엔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에서 중국의 인권 상황에 대한 토론 움직임이 포착되자 외교력을 동원해 이를 무마한 바 있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전 세계 각국의 인권 현황을 모니터링하며 중국 등 특정 국가에만 국한하지 않고 모든 국가에 대해 개선할 부분을 권고하는 절차를 시행하고 있다.
에포크타임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