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멕시코가 중국의 막무가내식 수출과 중국인들의 상가 독식으로 시장 안정에 혼란을 겪고 있다.
19일(현지시간) 화물운송업체 이터니티그룹의 아시아·멕시코 해상 운임 자료에 따르면, 최근 중국이 전기차 수출량을 급격하게 늘이면서 멕시코 항구가 △컨테이너 운임 폭등 △적재시설이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이 그룹의 EAX 지수를 보면 5월 컨테이너(40피트 기준) 운임은 5천140달러로, 전월 대비 55.57% 폭등했다.
현지 일간 ‘레포르마’는 “중국산 전기차의 과잉 공급으로 항구 내 적재시설이 사실상 포화상태”라며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멕시코 내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묻지마 수출'을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멕시코 통계청(INEGI) 자료와 멕시코 자동차유통업체협회(AMDA) 발표 등에 따르면 비야디(BYD), 장화이자동차그룹(JAC), 지리자동차그룹 등 중국 자동차 브랜드의 지난해 멕시코 내 판매량은 2022년 대비 63% 증가했다.
중국산 전기차의 과잉 수출로 멕시코 도착 후 전국 각지 매장으로 이송되는 기간도 점차 길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라사로카르데나스 등 주요 항구는 중국차 주차장으로 변해 다른 교역국들이 △컨테이너 부족과 운임 폭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시내 상권도 싹쓸이
멕시코 도소매 상권은 중국 상인들의 시장 장악으로 혼란을 겪고 있다.
최근 몇 년 간 멕시코시티 증심가에서는 중국 상인들이 시세보다 높은 임대료로 상가 또는 건물을 매입해 각종 생활용품과 의류, 가전제품, 완구류, 문구류를 싼값에 팔며 현지 상권을 흔들고 있다.
현지 상인들은 “중국인들의 상권 침투로 멕시코시티에서는 젠트리피케이션(외부인이 유입되면서 본래 거주하던 원주민이 밀려나는 현상)이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상인들은 현지 상인들의 가게를 대량으로 매입해 제품 적재를 위한 창고로 활용하는 경우도 많아 멕시코시티의 세수 부족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국은 실제 기존 가게로 운영되던 공간을 중국 상인들이 대거 창고로 활용하면서, 세수가 눈에 띄게 감소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멕시코시티 시정부는 정확한 실태 파악을 위해 현장 조사를 진행하는 한편 '경제적 젠트리피케이션 대책'을 위한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