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미국 공화당 소속 하원의원들이 ‘중국공산당(중공)의 초국가적 인권 탄압에 맞서 중국 반체제 인사, 종교 단체 등을 보호하기 위한 강력한 조치를 취하라’고 미 법무부에 촉구했다.
‘에포크타임스’에 따르면 의원들은 지난 5월 23일(현지시간) 서한을 통해 “중국의 초국가적 탄압에 가담해 인권 범죄를 저지른 모든 공산당 요원을 기소하고, 이들이 미국에 입국할 경우 즉각 구금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들은 ”인권 범죄자들을 법적 절차에 따라 정의의 심판대에 세워야 한다”고 역설했다. 서한 작성에는 톰 티파니, 앤디 오글스, 랜스 구든 의원 등이 참여했다.
티파니 의원은 이 매체에 “중공은 자국은 물론, 세계 각국에서 이런 탄압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며 “조 바이든 행정부도 이를 여러 차례 인정한 바 있다”고 언급했다.
중공은 자국 내 반체제 인사, 종교 단체 등을 대상으로 반인륜적인 탄압을 자행해 왔다. 정권의 표적이 된 이들은 지난 수십 년간 지속적인 협박과 괴롭힘을 당하고 교도소 또는 강제수용소에 구금됐다.
중공은 이미 수 년전부터 이런 탄압을 여러 국가로 확장하고 있다. 중국 내 탄압을 피해 해외로 피신한 반체제 인사, 정권 비판자, 인권 운동가, 종교인들을 겨냥한 것이다.
의원들은 이번 서한에서 미 국무부의 ‘중국 인권 보고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에 따르면 중공은 소수민족인 신장 위구르 자치구 무슬림 약 100만 명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인권 탄압을 벌이고 있다.
국제인권단체와 위구르 망명단체 등에 따르면 신장 당국은 대규모 강제수용소를 건설해 ‘직업훈련’이란 명목으로 위구르인들을 감금하고 각종 고문, 강제 노동, 세뇌, 강간, 낙태, 장기 탈취 등 각종 잔혹한 탄압을 자행하고 있다.
이에 대해 서한은 “이런 탄압은 미국 법률에 따라 ‘형사 범죄’에 해당한다“며 “특히 고문과 관련해서는 가해자 또는 피해자의 국적, 행위가 벌어진 장소 등에 상관없이 법률이 적용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의원들은 “미 법무부는 이에 대해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동맹국들과도 긴밀히 협력해 범죄자들이 법의 심판을 받을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 초국가적 탄압
중공이 해외 많은 나라에서 운영하고 있는 ‘비밀경찰서’는 초국가적 탄압의 대표적인 사례다. 전문가들은 이 시설이 중공 공안당국의 ‘끄나풀’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국제 인권단체 ‘세이프가드 디펜더스(SD)'는 2022년 12월 보고서를 통해 “중국은 세계 53개국에서 100곳 이상의 비밀경찰서를 운영하고 있다”고 폭로한 바 있다.
미 법무부는 지난해 4월 뉴욕 차이나타운에서 비밀경찰서를 운영한 혐의로 중국계 남성 2명을 체포해 기소했다.
다음 달인 5월에도 중국 요원 2명이 체포됐다. 이들은 미국 내 파룬궁 수련자들을 탄압하기 위해 미 국세청(IRS) 직원에게 뇌물을 준 혐의를 받았다.
이어 같은 해 11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미중 정상회담 기간에도 비슷한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중국 정권의 인권 탄압을 규탄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던 반공(反共) 시위대는 친중파 세력으로부터 물리적 공격을 받았다.
미국 뉴욕의 중국 민주당 전국위원회 전무이사인 천촹촹(陳闖創)은 당시 상황에 대해 “반공 시위대 최소 40명이 폭행을 당했다. 그중 1명은 응급실 치료가 필요할 만큼 크게 다쳤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자신도 후추 스프레이를 맞는 등 위협을 당했다”며 “이것은 친중파 세력이 공격을 미리 계획하고 준비했음을 의미한다”고 고발했다.
해외에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도 당국의 감시와 압박을 느끼고 있다.
인권단체 국제앰네스티가 북미와 유럽 8개국에 있는 중국인 유학생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학생들은 중국 정권의 보복을 우려해 정치적 활동에 참여하거나 중국에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는 것을 주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단체의 중국 담당자인 사라 브룩스는 지난 9일 매체에 보낸 이메일에서 “학생들은 중공의 표적이 되어 위협이나 협박을 받은 경험을 털어놨다”며 “이런 경험과 사례들은 학생들을 공포로 몰아 자기 검열에 빠지게 한다”고 지적했다.
해당 조사에서 학생들은 “해외 어디에 있든 (중국) 당국의 감시를 받고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