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캐나다의 대학 여자배구 경기에서 생물학적 남성 트랜스젠더 선수들이 코트를 장악해 논란이다. 이들은 대부분은 호르몬 치료나 외과적 수술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캐나다 매체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세네카 칼리지와 센테니얼 칼리지의 여자 배구 경기에서 생물학적 남성으로 태어난 트랜스젠더 선수 5명이 경기에 출전했다.
세네카 칼리지에서는 3명, 센테니얼 칼리지에서는 2명이 각각 출전했으며, 압도적인 기량으로 경기를 풀타임으로 뛰면서 경기를 주도했다. 이로 인해 일부 여성 선수들은 벤치를 지켜야만 했다.
경기 결과 트랜스젠더 선수가 더 많은 세네카 칼리지가 3대 1로 승리했다. 이 팀의 트랜스젠더 선수인 프란츠 라가다스는 2022~23시즌 남자배구팀에 소속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1년도 되지 않아 ‘성전환’을 했다며 여자 선수로 이름을 올린 것이다.
이에 대해 성전환 선수들에 대한 정확한 출전 규정이 없어 다른 선수들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피해 사례는 이미 발생하고 있다. 매체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센테니얼의 성전환 선수가 던진 공에 다른 팀 선수가 맞은 뒤 뇌진탕 판정을 받았다. 지난달에는 세네카의 또 다른 성전환 선수가 역시 훈련 중 강한 스파이크를 시도하다 다른 선수에게 뇌진탕 부상을 입힌 바 있다.
매체는 “5명의 트랜스젠더 선수가 서브와 스파이크에서 다른 선수들보다 강한 힘을 발휘했다”며 “스포츠에서 부상이 발생하기는 하지만 남성 배구 공격의 순수한 힘은 생물학적인 여성의 힘보다 훨씬 더 강력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온타리오 대학 체육 협회(OCAA)에는 6명의 트랜스젠더 선수가 소속돼 있으며, 이들 중 5명은 성별 확인 호르몬 치료를 받지 않았거나 외과적 수술을 받지 않았다. OCAA에는 트랜스젠더 선수의 적격성과 관련한 공개된 규정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경기 소식에 대해 일부 네티즌은 “이것은 부정행위이자 (다양성을 빙자한) 광기이고 여성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IOC(국제올림픽위원회)는 과거 성전환 남성의 올림픽 출전은 제한을 두지 않았지만 성전환 여성은 테스토스테론 억제제를 투여해 최소 12개월 동안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리터당 10나노몰(nM)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에만 출전을 허용했다.
하지만 2021년 "성전환 선수 출전 자격은 각 경기단체의 자율"이라며 규정을 없앴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