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프랑스에서 여성의 낙태권을 헌법에 명문화하는 작업이 첫 관문인 하원을 통과했다. 하원을 통과한 개정안은 다음 달 상원에서 표결에 부쳐진다.
지난달 30일(현지 시각) ‘조선일보’가 외신을 인용한 데 따르면 이날 프랑스 하원은 여성의 낙태권을 명시한 헌법 개정안 초안을 찬성 493표, 반대 30표로 승인했다. 개정안은 헌법 제34조 ‘법률 규정 사항’에 ‘여성이 자발적으로 임신을 중단할 수 있는 자유가 보장되는 조건을 법으로 정한다’는 문구를 추가하는 것이 골자다.
하원을 통과한 개정안은 다음 달 상원에서 표결에 부쳐진다. 만약 개정안이 상원을 통과하고, 이후 양원 합동 특별회의에서 재적 의원 5분의 3 이상의 찬성을 얻는다면 헌법이 개정된다.
다만 상원을 장악하고 있는 보수 공화당 의원 일부가 개정에 반대하고 있다. 공화당 소속 제라르 라르셰르 상원 의장을 비롯한 일부 보수 의원들은 ‘프랑스에서는 낙태권이 위협받고 있지 않다’고 주장하며 헌법 개정에 반대하는 상황이다.
개헌 절차가 완료되면 프랑스는 여성의 낙태권을 헌법에 명시한 첫 번째 국가가 된다.
프랑스는 1975년 낙태죄를 폐지하고, 일반 법률로 낙태권을 인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2022년 미국 연방 대법원이 여성의 낙태권을 보장한 ‘로 대(對) 웨이드 판결’을 폐지한 것을 비롯해 일부 국가들에서도 낙태권을 제한하는 움직임이 나타나자, 프랑스에서 낙태권을 법률로만 보장하는 것은 부족하다는 주장이 커졌다.
2022년 재선에 성공한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해 3월 여성의 낙태권 헌법 명시를 공약한 바 있다. 마크롱 정부는 세계 여성의 날인 3월 8일에 맞춰 양원 특별 합동 회의를 열고 개정안을 통과시키겠다는 계획이다.
마크롱은 세계경제포럼(WEF)가 선정하는 영 글로벌 리더(Young Global Leader, YGL) 출신으로 WEF가 추진 중인 ‘그레이트 리셋’ 일환인 ‘인구 감축’를 지지하는 기조로 정책을 추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김필재 TV'에 따르면 WEF를 이끌고 있는 클라우스 슈밥은 오랜 기간에 걸쳐 자신이 설립하고 관리해온 ‘영글로벌리더스쿨’을 통해 오늘날 각국의 정치인들과 초국적 기업의 리더들을 육성해왔다.
미국의 하버드 대학과 연계해 향후 세계 정치와 경제를 이끌어 갈 젊은이들을 비밀리에 육성해왔다. 초기엔 경제 분야로 시작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정치인, 언론인을 비롯 스포츠 선수, 유명 배우들까지 끌어들였다.
2022년 기준 이 그룹을 거쳐간 졸업생은 총 1300여 명에 달하며, 동문의 목록을 보면 각 국가의 의료기관 고위급 지도자들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국가 지도자급으로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을 비롯,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오르반 빅토르 헝가리 총리, 앙겔라 메르켈 전 독일 총리, 니콜라스 사르코지 전 프랑스 대통령,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 저신다 아던 전 뉴질랜드 총리, 제바스티안 쿠르츠 전 오스트리아 총리, 장클로드 융커 룩셈부르크 전 총리 등이 있으며, 아날레나 베어보크 독일 외무부 장관, 옌스 슈판 독일 보건부 장관,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 , 피트 부티지지 미국 교통부 장관 등 국가 고위 인사도 있다.
다국적 기업과 관련된 인물로는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 첼시아 클린턴(빌 클린턴 딸) 등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 허세홍 GS칼텍스 사장, 축구 선수 박지성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