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국토를 가진 캐나다는 광활하고 깨끗한 자연환경이 보장된 데다, 세계 10위에 드는 탄탄한 경제 기반을 바탕으로 국민들에게 강력한 사회보장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게다가 캐나다는 국민들의 소득 수준도 높기 때문에 많은 돈을 벌면서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국가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인지 캐나다는 전 세계인들이 가장 이민 가고 싶은 나라 중 3위 안에 꼭 든다.
하지만 이런 이상적인 나라에 사는 사람들의 생각은 전혀 다르다. 한 여론 조사에 따르면 캐나다 국민의 3분의 2분가 “나라의 모든 것이 망가져 있다”고 생각하며 자신의 경제 상황과 삶의 질에 대해 비관적으로 여기고 있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인데 첫 번째는 ‘살인적인 물가’다. 놀랍게도 캐나다인들은 식료품비, 은행 수수료, 휴대전화 요금, 항공권 등 필수적인 생활비용을 세계에서 가장 많이 감당하고 있다.
캐나다 식품 가격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캐나다의 4인 가족 기준 식료품 연간 지출 예상액은 약 1,600만 원으로, 우리나라와 비교하면 400만 원이나 더 높다. 실제로 캐나다의 식료품 가격은 2022년 5%, 23년 7% 정도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캐나다는 핸드폰 요금도 매우 비싸다. 최근 한 데이터 업체가 44개국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캐나다는 월평균 핸드폰 요금은 ‘990달러 이상’으로 가장 비쌌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저렴한 요금제를 보유한 인도와 비교하면 무려 17배나 높은 수준이다.
이렇다 보니 현지인들은 고물가 압력 속에 미래를 설계할 여력도, 삶을 즐길 여유도 갖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캐나다의 물가가 이렇게 살인적인 데는 이유가 있다. 캐나다의 산업들은 대부분 하나 혹은 몇 개의 대기업에 의해 독과점으로 운영된다.
특히 현재 캐나다의 식료품 산업은 랍로우(Lablaw), 쏘베이(Sobeys), 메트로(Metro) 등 소수의 대형 업체가 전국적으로 수많은 매장을 운영하며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이들이 캐나다 식품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60%에 달한다. 이 업체들은 최근까지도 가격 경쟁을 하지 않고 가격 담합을 하고 있다는 의혹으로 캐나다 당국의 조사를 받았을 만큼 독과점 지위를 남용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렇게 캐나다인들은 식료품 업체에 지갑을 털리고 있지만 통신 시장의 상황도 심각하다.
이 경우도 식료품 시장과 마찬가지로 벨(Bell)와 텔러스(Telus), 로저스(Rogers) 등 세 개의 대형 통신사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이들의 시장 점유율은 90%를 육박한다.
전문가들은 "이런 독과점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휴대전화 및 인터넷 요금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부동산 문제도 캐나다인들의 생활고를 부추기는 악재다. 캐나다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평균 주택 가격이 무려 두 배 이상 치솟아 집을 사는 것은 물론 임대하기도 쉽지 않다.
지난해 8월 캐나다의 평균 주택 임대료는 2078 달러였는데, 2년 전인 2021년 8월 (1724 달러) 대비 2년 동안 무려 21%나 상승했다.
캐나다의 대표 도시인 토론토의 경우, 주민이 감당하는 주거 임대비는 평균 소득의 무려 120%에 달한다고 한다.
내집 마련을 위한 은행 대출의 문턱도 당연히 높다. 캐나다의 대표 도시인 밴쿠버의 경우 부동산을 구매시 주택 담보 대출을 받으려면 최소 연봉이 25만 달러가 넘어야 가능하다.
다시 말해 캐나다에서 부동산을 구매하는 것은 소득이 매우 높은 사람들만 가능한데, 그들조차도 주택 담보 대출 원리금 상환에 큰 어려움을 겪는다고 한다.
캐나다는 국토 면적도 넓은데 왜 주택 문제가 심각할까? 전문가들은 먼저 캐나다의 수많은 이민자들을 그 원인으로 보고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캐나다는 이민자들에게 인기가 높으며, 캐나다 정부 또한 이민자 포용 정책을 통해 매년 50만 명이 넘는 이민자들을 받아들이고 있다.
이러다 보니 매매든 임대든지 간에 주택 수요 증가로 집값은 계속 오르게 된다. 정부는 주택 공급을 늘려 집값 안정화에 나서야 하지만 그렇게 하지 않아 주택 공급 정책에 완전히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캐나다는 연방제도를 채택한 나라다. 그러다 보니 지방 정부의 힘이 강력하고 모든 정책들 또한 자체적으로 통제하고 시행한다.
그런데 이들은 주택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 부동산의 가격이 떨어질 것을 우려해 주택 건설을 주저한다.
그것은 주택을 소유한 지방정부의 유권자 및 기득권층의 이익에 해를 끼치지 않음으로서 정치적 이해관계를 원활히 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어느 나라든지 정치인들은 자신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의 권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경우가 많은데, 캐나다 지방 정부도 유권자들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주택 공급과 관련한 문제를 방치하는 것이다.
정부의 이런 태도는, 해외 부자들의 무분별한 사재기로 캐나다 주택 가격 상승을 한층 더 부추기는 부작용도 초래하게 된다.
아무리 힘들어도 더 나아질 거라는 희망이라도 있다면 살아갈 수 있지만 캐나다인들이 느끼는 미래는 그리 밝아보이지 않는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