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5.06(화)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초고령사회 日... ‘장제부조’ 건수 역대 최다

디지털뉴스팀  |  2024-01-09
인쇄하기-새창

[SOH] 세계에서 고령화 문제가 가장 심각한 일본에서 최근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비용으로 치른 장례가 5만 건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20%를 넘는 사회를 ‘초고령사회’로 부르는데, 일본은 이미 2005년 초고령사회에 진입해 올 9월 기준 전체 인구의 29.1%인 3623만명이 65세가 넘는다. 

특히 2025년부터는 ‘일본판 베이비붐 세대'로 알려진 ‘단카이(團塊)세대’(1947~1949년생, 700만명 출생) 모두가 만 75세 이상인 ‘후기고령세대’로 접어든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후생노동성 자료를 인용, 사망자의 유족이 없거나 경제적인 형편이 열악해 장례비를 공공부담으로 치른 사례가 2022년도(회계년도 기준, 2022년 4월∼2023년 3월)에 5만2561건(잠정치)에 달했다고 지난달 보도했다.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지난해 집행한 ‘장제부조’ 건수는 1956년 집계 개시 이후 처음으로 5만건을 돌파했다. 특히 이번 기록은 이전 최대치인 2021년도 4만8789건에 비해서도 3772건 많은 것이다. 

장제부조는 유족이 없거나 유족이 장례비를 부담할 수 없는 경우 병원 등 제3자의 신청으로 정부나 지자체가 시신 운반, 화장, 납골 등에 따르는 비용을 부담하는 제도로, 도시 지역은 1건당 21만엔(약 180만원)이 지급된다.

일본에는 우리나라의 ‘기초생활보호제도’와 비슷한 ‘생활보호제도’가 있는데, 장제부조는 생활·의료·주택·교육·개호·출산·생업·장제 등 8가지 부조 제도 중 하나다.

신문은 이에 따른 장제부조 비용도 2021년도 104억엔(9395억원)에서 2022년 110억엔(9937억원)으로 늘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한편, 일본에서는 고령층이 인생 마무리를 스스로 준비하는 ‘종활(終活·슈카쓰)’ 서비스가 활발하다. 장례, 유품정리, 묘지, 유언과 재산상속, 연명의료 등과 관련된 결정을 자신이 내리고, 장례식장 계약 등을 맺어두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민간 서비스 외에도 지자체들의 지원활동이 확대되는 추세다. 

nongmin.com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2706 바이든 정부... ‘성소수 포용’ 정책 계속
디지털뉴스팀
24-02-26
2705 美 불법 이민자 급증 일등공신은 누구?
디지털뉴스팀
24-02-24
2704 英 대성당 음주가무 행사에 기독교인 대거 항의·청원
디지털뉴스팀
24-02-24
2703 일그러진 다양성... 加 여대 배구, 생물학적 男 선수들 ....
디지털뉴스팀
24-02-22
2702 필리핀, “中, 남중국해서 청산가리 조업으로 생태계 파괴”..
디지털뉴스팀
24-02-22
2701 빅테크 온라인 아동 성 학대 피해 사상 최고... ‘메타’ ....
디지털뉴스팀
24-02-14
2700 [SOH 이슈] “의료윤리 퇴보... 생명 살리던 데에서 왜곡....
디지털뉴스팀
24-02-13
2699 英 국교회 본산 캔터베리... ‘음주가무 파티’로 교회 홍....
디지털뉴스팀
24-02-12
2698 英 찰스 3세 ‘암’... 공개활동 중단
한지연 기자
24-02-08
2697 美 보수파, 바이든표 ‘다양성·형평성·포용성’ 퇴출... “....
디지털뉴스팀
24-02-06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6,046,796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