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자유·민주 진영 국가 50여개 국이 참여한 유엔(UN)의 ‘중국공산당(중공)의 인권탄압 규탄’ 성명에 한국이 2년 연속 불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10월 19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전날 UN 총회 산하 제3위원회 일반토의에서 제임스 카리우키 영국대사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인권 상황, 특히 신장 위구르족과 기타 무슬림 소수민족에 대한 지속적 인권 침해에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에는 중공 정부가 신장 탄압을 즉각 중단하고, 유엔 인권 최고대표 사무소(OHCHR)의 권고를 따를 것을 촉구하는 내용도 담겼다. 제3위원회는 사회적·문화적·인도적 문제를 주로 다룬다.
앞서 OHCHR은 중국 당국이 위구르족을 자의적으로 구금하고, 종교·문화 전통을 탄압하는 한편 고문과 강제노동, 성폭력 등을 자행하고 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영국이 주도한 이 성명에는 미국과 유럽연합(EU) 회원국, 일본 등 모두 51개국이 참여했지만, 한국은 이름을 올리지 않았다.
한국은 지난해에도 ‘국익’ 등을 이유로 성명에 불참했다.
당시 정부는 유엔 인권이사회(UNHRC)에서 ‘위구르족 인권 침해 의혹 토론회’ 개최는 찬성했지만, 캐나다가 주도한 유엔 총회 규탄 성명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그 이유에 대해 외교부는 "국익 등 여러 가지 관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밝혔다.
한국은 2021년 문재인 정부 때에도 프랑스 주도로 43개국이 참여한 중공 인권탄압 규탄 성명에 불참했다.
중공은 자국민에 대한 강도 높은 탄압으로 국제적 비난을 받고 있다. 중국에서는 신장 위구르족 외에도 파룬궁(심신수련법) 수련자를 비롯 티베트 불교도, 가정교회 신도 등이 가혹한 탄압을 받고 있다.
특히 파룬궁 수련자들에 대한 탄압은 1999년부터 현재까지 25년째 중단되지 않고 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