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유럽에서 기독교에 대한 공격이 매년 증가하는 가운데, 지난해 반기독교 증오범죄가 전년도(519건)에 비해 44%(약 750건)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 NGO '유럽 기독교인에 대한 편협성과 차별에 관한 관측소'(OIDAC·본부 비엔나)는 30개국에서 발생한 반기독교 증오범죄를 기록한 '2022년 연례보고서'를 공개했다.
기독교인들에 대한 범죄는 △방화를 비롯해 △낙서 △모독 △절도 △신체적 공격 위협 △살인 등 다양했다.
보고서는 2022년 증오범죄로 분류된 사건 749건을 확인했다. 여기에는 38건의 신체 폭행과 3건의 살인이 포함됐다.
특히 지난해에는 방화 공격이 증가했다. 2021년 60건에서 2022년 105건으로 약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보고서는 기독교인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차별도 분석했다.
OIDAC는 "지난 한 해 동안 기독교인들은 종교적 견해를 공개적으로 표현했다는 이유로 직장을 잃거나 정직됐으며, 심지어 기소 당하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영국에서는 낙태 클리닉 주변의 기도와 종교적 표현을 범죄로 규정하는 이른바 '완충지대' 법안을 통해 종교 및 집회의 자유에 대한 법적 제한이 있었다”며 “이는 조용히 기도하는 기독교인들을 범죄화하는 것을 초래한 국가 규제의 한 형태”라고 단체는 우려했다.
기독교인들은 성소수(LGBTQ)에 반대하는 이유로도 차별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OIDAC는 "LGBTQ에 대해 반대 의견을 내거나 종교적 확신 때문에 자녀가 '호르몬 치료'를 받지 못하게 할 경우 부모, 목사, 교사 등을 형사 처벌하는 법을 모호하게 규정하는 등 다른 법적 발전을 통해서도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단체는 “종교 가르침의 표현을 '증오 표현'으로 범죄화 하는 것은 낙인을 찍는 동시에 실제 증오 선동을 일으키는 등 다양한 수준에서 위험하다”며 기독교인에 대한 정부 관리들의 불관용과 차별 사례를 더 잘 감시하고 개선할 것을 촉구했다.
아울러 △기독교인에 대해 보도하거나 글을 쓸 때 다른 종교 단체나 소수 집단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기준을 적용할 것과 △기독교인들이 자유롭게 신앙을 표현할 수 있도록 종교와 세속 사회 간의 대화에 기여하고 다양한 그룹 간의 다리를 구축할 것을 권고했다. 데일리굿뉴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