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8.16(토)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WHO “아스파탐 발암가능물질”... 일일 허용량은 유지?

디지털뉴스팀  |  2023-07-14
인쇄하기-새창
[SOH] 세계보건기구(WHO)가 설탕의 대체제인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을 발암가능물질(2B군)으로 분류했다. 아스파탐은 탄산음료 등 '제로 칼로리' 표방한 다양한 식·음료 제품에 사용된다.

14일(현지시간)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RAC)와 WHO·유엔식량농업기구 공동 산하기구인 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는 아스파탐의 유해성 평가 결과를 담은 보도자료를 통해 ‘아스파탐을 발암가능물질 분류군인 2B에 포함시킨다’고 밝혔다. 다만, 아스파탐의 기존 일일섭취허용량(1㎏당 40㎎)은 그대로 유지된다.

IRAC는 발암 위험도에 따라 △확정적 발암 물질은 1로 △발암 추정 물질은 2A로 △발암 가능 물질은 2B로, 분류 불가는 3으로 분류하고 있다.

△1군에는 술·담배, 가공육 등이 속하고 △2A군에는 적색 고기와 고온의 튀김 등이 △2B군에는 김치나 피클 등의 절임채소류가 포함된다. 2B군은 발암 가능성이 있지만 증거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분류된다.

IRAC 등은 기존 연구논문과 각국 정부 보고서와 식품 규제를 위해 수행된 기타 연구 등 다양한 출처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아스파탐의 유해성을 조사했다.

WHO는 “검토 논문 중 아스파탐이 간암과 관련성이 있다는 취지의 내용도 있었다”고 전했다.

프란체스코 브랑카 WHO 영양·식품안전국장은 이번 발표와 관련한 기자회견에서 "아스파탐은 다양한 식품에 들어 있으며 과다 섭취에 대한 우려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말할 수 있다"고 말했다.

IARC 등은 다만 이번 결정에도 아스파탐의 기존 일일섭취허용량은 그대로 유지한 데 대해 “관련 정보 부족으로 허용을 금지할 충분한 이유를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2646 또 '챌린지' 사고... 美 10대 소년 '매운 과자 먹기' ....
권성민 기자
23-09-14
2645 美 '나이키 도시'... 치안 악화로 매장 운영 수난
디지털뉴스팀
23-09-13
2644 G7 이탈리아 일대일로 탈퇴... 美로 환승?
구본석 기자
23-09-12
2643 日 저출산 후폭풍... 사립대 절반 이상 정원 미달
한상진 기자
23-09-12
2642 中, 런던 내 초대형 대사관 건립 좌절... 왜?
권민호 기자
23-09-10
2641 동성애 코드 짙어지는 디즈니랜드... 男 직원은 드레스,....
디지털뉴스팀
23-09-08
2640 加 병원... 우울증 상담자에 ‘조력 자살’ 제안
한지연 기자
23-09-07
2639 美 대형 은행, 기독 단체 계좌 폐쇄... “복음 사역 위기“..
디지털뉴스팀
23-09-06
2638 英 성공회 성직자... ‘동성혼 주례 찬성’ 급증
디지털뉴스팀
23-09-05
2637 태국 방콕에 섬뜩한 거대 조형물... 시민단체 “악마 숭....
이연화 기자
23-09-02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50,588,874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