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5.06(화)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WHO “아스파탐 발암가능물질”... 일일 허용량은 유지?

디지털뉴스팀  |  2023-07-14
인쇄하기-새창
[SOH] 세계보건기구(WHO)가 설탕의 대체제인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을 발암가능물질(2B군)으로 분류했다. 아스파탐은 탄산음료 등 '제로 칼로리' 표방한 다양한 식·음료 제품에 사용된다.

14일(현지시간)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RAC)와 WHO·유엔식량농업기구 공동 산하기구인 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는 아스파탐의 유해성 평가 결과를 담은 보도자료를 통해 ‘아스파탐을 발암가능물질 분류군인 2B에 포함시킨다’고 밝혔다. 다만, 아스파탐의 기존 일일섭취허용량(1㎏당 40㎎)은 그대로 유지된다.

IRAC는 발암 위험도에 따라 △확정적 발암 물질은 1로 △발암 추정 물질은 2A로 △발암 가능 물질은 2B로, 분류 불가는 3으로 분류하고 있다.

△1군에는 술·담배, 가공육 등이 속하고 △2A군에는 적색 고기와 고온의 튀김 등이 △2B군에는 김치나 피클 등의 절임채소류가 포함된다. 2B군은 발암 가능성이 있지만 증거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분류된다.

IRAC 등은 기존 연구논문과 각국 정부 보고서와 식품 규제를 위해 수행된 기타 연구 등 다양한 출처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아스파탐의 유해성을 조사했다.

WHO는 “검토 논문 중 아스파탐이 간암과 관련성이 있다는 취지의 내용도 있었다”고 전했다.

프란체스코 브랑카 WHO 영양·식품안전국장은 이번 발표와 관련한 기자회견에서 "아스파탐은 다양한 식품에 들어 있으며 과다 섭취에 대한 우려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말할 수 있다"고 말했다.

IARC 등은 다만 이번 결정에도 아스파탐의 기존 일일섭취허용량은 그대로 유지한 데 대해 “관련 정보 부족으로 허용을 금지할 충분한 이유를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2636 獨 자기주도결정법 승인... “법적 성별 원하는 대로 결정”..
이연화 기자
23-08-30
2635 美, 中 신장이식 전문의 돈세탁 혐의로 체포... 장기적....
디지털뉴스팀
23-08-29
2634 日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시작... 30년간 24시간 ....
디지털뉴스팀
23-08-24
2633 유튜브, ‘WHO 규정 위반 컨텐츠’ 검열... ‘팬데믹 협약’....
디지털뉴스팀
23-08-22
2632 미국인 우선순위... ‘종교’↓ 지역사회 활동↑
디지털뉴스팀
23-08-21
2631 중국계 美 해군 2명 ‘스파이 혐의’로 기소... 유죄 판결....
도현준 기자
23-08-14
2630 英 예술 거리... 中共 선전 문구 도배 논란
이연화 기자
23-08-12
2629 멕시코 ‘좌편향 국정교과서’ 논란... 학부모·야당 반발
한지연 기자
23-08-11
2628 中 악성코드, 美軍 전력·급수·통신망 침투... 사시 교란....
디지털뉴스팀
23-08-10
2627 美 라스베이거스 조명쇼에 '거대 눈알‘ 등장... “징그럽....
디지털뉴스팀
23-08-09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6,046,796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