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메타(구 페이스북)에 코로나19에 관한 특정 정보를 검열·삭제토록 요구했으며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도 이러한 검열에 개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15일 ‘에포크타임스’에 따르면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컴퓨터 과학자 렉스 프리드먼의 팟캐스트에 출연해 이 같이 밝혔다.
저커버그는 지난 8일 공개된 내용에서, 프리드먼과 토론 중 “팬데믹 초기 코로나에 대한 정보 등 실제로는 건강에 영향을 미쳤지만 과학적 전제가 완전히 검증될 시간이 없었던 경우를 생각해 보라”고 말했다.
이런 이유로 당시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코로나19 백신의 △접종 부작용 △성분 안전성에 대한 의혹 등을 제기·폭로하는 내용이 홍수를 이뤘다.
그러나 미 당국과 전문가들은 이런 주장을 “근거 없는 가짜 뉴스”, “음모론” 등으로 치부하며 검열 및 단속에 나섰다.
저커버그는 프리드먼과의 토론에서 “나는 권위 있는 자리의 많은 사람이 코로나19에 대한 사실을 모호하게 하고 논란의 여지가 있거나 나중에 진실로 밝혀진 내용에 대해 검열을 요구받았다”며 “그건 정말 힘든 일이다. (소셜미디어의) 신뢰를 무너뜨린다”고 밝혔다.
‘정보자유법’에 따라 공개된 미국 정부와 페이스북 사이에 오간 이메일에 따르면, 바이든 정부 백악관 디지털 전략 책임자인 롭 플래허티는 2021년 4월 페이스북에 보낸 이메일에서 ‘잘못된 정보’, ‘허위 정보’,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의심을 일으키는 콘텐츠’를 특정해 “대책을 세우라”고 압박했다.
저커버그는 “이러한 검열 요구에는 ‘요구대로 해주지 않으면 여러 가지 곤란한 일이 생길 것’이라는 압력도 담겼다”고 덧붙였다.
메타의 한 임원은 2021년 7월 페이스북이 잘못된 정보에 제대로 대응하지 않아 “사람을 죽이고 있다”고 비난한 바이든 대통령의 발언 이후 비벡 머시 연방 의무총감에게 연락해 ‘회사 대응팀이 정부 관계자와 만나 백악관의 요구 사항을 잘 이해하기 위해 논의했다’고 보고했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역시 이러한 검열에 개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CDC는 페이스북을 비롯해 여러 소셜미디어 기업 임직원에게 코로나 백신 의혹을 폭로하는 주장들에 대해 ‘오보’라며 관련 게시물 목록을 전달했다.
CDC의 디지털 미디어 수석은 “코로나19에 관한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많이 나돌고 있었다”면서도 “나는 우리가 구체적으로 콘텐츠를 삭제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았다”고 검열 요구 의혹을 부인했다.
그러나 공개된 이메일들은 페이스북 실무진이나 메타 임원이 백악관 혹은 바이든 행정부 당국자와 연락을 주고받으며 특정한 소셜미디어 콘텐츠를 허용하거나 삭제 혹은 억제했음을 입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페이스북 스스로도 이를 부당한 언론 검열이라고 인식한 정황도 포착됐다.
2021년 롭 플래허티 백악관 디지털 전략 책임자에 보낸 이메일에서 페이스북 측 담당자는 “센세이션을 일으키거나 충격적이거나 우려스럽게 받아들여질 수 있지만 진실일 경우가 많은 콘텐츠를 포함한 계정 그룹을 삭제하고 있다”고 전했다.
코로나19 백신 피해가 확인됐거나 의심되는 사람들이 지난달 제기한 소송에 따르면, 페이스북의 검열에는 “오보일 수 있다”는 이유로 백신 피해자를 지원하려는 페이스북 이용자 그룹을 폐쇄한 경우도 있었다.
저커버그는 토론에서 “나는 언론의 자유를 매우 지지한다”며 “페이스북은 이용자들에게 표현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백신 피해자들이 제기한 소송에서 원고 측 대리인인 법조단체 ‘신자유동맹(New Civil Liberties Alliance)’의 캐시 노먼 변호사는 “저커버그의 발언은 모순”이라고 비판했다.
노먼 변호사는 에포크타임스에 보낸 이메일에서 “저커버그의 발언은 정부의 뜻으로 수행된 언론 검열이나 의견 수정에 대해 진정성 있게 대답하는 대신 누구의 비난도 회피해 가려는 듯한 태가 담겨 있다”고 논평했다.
코로나19 백신 봉쇄와 마스크 의무화 명령에 반대했다가 트위터에서 검열됐던 스탠포드 의대의 제이 바타차리아 박사는 "정부의 학교 폐쇄, 백신 의무화, 아동 마스크 착용이 가능했던 것은 빅테크가 검열에 협조했기 때문"이라며 “(저커버그가) 이제 겨우 겸손해졌다”고 꼬집었다.
메타는 지난 수개월간 코로나19 기간 차단했던 페이스북 계정을 단계적으로 해제해왔다.
여기에는 최근 민주당 대선 후보로 출마를 선언한 존 F. 케네디 전 미국 대통령의 조카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의 계정도 포함된다. 당시 그는 아동 백신 접종해 반대했다가 계정이 차단됐다.
하지만 여전히 차단 중인 계정도 남아 있는 상황에서 저커버그는 콘텐츠 검열의 순기능도 내세웠다.
그는 “어떤 정보에 대해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 결정할 때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해롭다고 보는 문제를 중시해야 한다”며 아동 성착취 등 다수가 나쁘다고 인식하는 콘텐츠는 계속 검열 대상으로 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전날 발표된 월스트리트저널과 스탠퍼드대학, 매사추세츠대학이 공동으로 벌인 조사에서는 인스타그램이 알고리즘을 통해 소아성애자들의 네트워킹을 돕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에 따르면, 일반 이용자들에게는 잘 노출되지 않지만 소아성애를 암시하는 해시태그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알고리즘이 아동 성착취와 관련된 콘텐츠를 유통하는 계정을 추천하고 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