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생수병에 담긴 물에서 ㎖당 1억 개가 넘는 나노플라스틱이 검출됐다는 해외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나노 플라스틱은 지름이 1㎛(마이크로미터, 1000분의 1㎜) 미만의 플라스틱 입자다.
최근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과 중국 난카이 대학, 벨기에 헨트 대학 등 국제연구팀은 생수 속의 나노플라스틱 농도를 측정한 연구 결과를 ‘환경 과학 기술(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저널에 발표했다.
실험에 사용된 제품은 노르웨이에서 판매 중인 4개 브랜드의 페트병 포장 생수다.
연구팀은 생수 시료를 지름 100㎚(나노미터) 유리 섬유 필터 여과막으로 걸렀다. 여과막의 구멍 지름은 100㎚(나노미터, 100㎚=0.1㎛)로, 대부분의 나노 플라스틱을 걸러낼 수 있다.
그런 다음 여과막을 통과한 물은 표면 강화 라만 분광법으로, 여과막에 걸린 나노플라스틱은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다.
결과, 시료 1㎖에서 나노플라스틱이 평균 1억 6600만개 검출됐다. 평균 크기는 88.2nm였다.
이런 물을 성인이 하루 2ℓ, 어린이가 하루 1ℓ 마실 경우 연간 120조 개와 54조 개의 나노플라스틱을 각각 섭취하게 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나노플라스틱 섭취에 주의하기 위해선 일회용 용기 사용을 자제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일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일회용 종이컵의 경우 내부가 폴리에틸렌(PE)으로 코팅되어 있는데, 100도의 뜨거운 물에 20분간 노출시키면 mL당 10억 개의 나노플라스틱이 용출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크기가 큰 미세플라스틱도 검출됐다. 1μm 이상 5mm이하인 미세플라스틱의 경우 생수 ㎖당 0.1~1만 개가 나왔다.
미세플라스틱의 경우 150μm 이상은 체내 흡수가 어려워 배변 활동으로 배출되지만 10~20μm 크기는 소화관 내벽, 혈관벽 등을 통과할 수 있다.
이렇게 흡수된 미세플라스틱은 혈관에 잔류하거나 세포 사이로 들어갈 수 있으며, 100nm 정도로 작아지면 세포 내부로 들어갈 수도 있다고 한다.
연구팀은 “시중에서 유통되는 생수병에 존재하는 나노플라스틱은 병 자체가 오염됐을 수도 있지만, 취수원의 오염이나 제품 포장 과정에서도 오염이 일어날 수 있다”고 전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