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이 안보 위협을 이유로 미국 정치권에서 퇴출 압박을 받는 가운데, 조 바이든계 인사들이 틱톡 로비에 대거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3월 24일(현지시간) 정치 전문매체 ‘더힐’ 등은 전날 틱톡이 상원에 제출한 문서를 인용, 바이든계 로비스트 안키트 데사이가 인터넷 기술 및 콘텐츠 플랫폼 규제 관련 이슈에 대한 로비를 위해 틱톡에 고용됐다고 보도했다.
안키트 데사이는 바이든이 상원 의원이던 2005년 10개월간 입법 보조 활동을 했다.
틱톡은 3월 초 아니타 던 현 백악관 선임고문이 창립자 멤버로 있는 컨설팅 회사 SKDK도 고용했다. 던 고문은 바이든이 정치 문제와 관련해 신뢰하는 조언자 중 한 명으로 알려졌다.
2020년 대선 당시 바이든 대통령 후보의 언론 비서관을 지낸 자말 브라운 전 국방부 수석 부대변인도 지난해 11월 미국 내 정책 커뮤니케이션 관리 담당으로 틱톡에 채용됐다.
이와 함께 틱톡의 공공 정책팀에는 낸시 펠로시 전 하원의원을 10년 정도 보좌한 마이클 블룸, 케빈 매카시 현 하원의장과 7년간 일한 프레디 반스 등이 소속돼 있다.
WSJ은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는 2019년부터 미국에서 로비를 시작했으며 지난해 말까지 모두 1천350만 달러(약 175억3천만원)의 비용을 사용했다고 전했다.
지난해에는 전직 상원의원을 포함, 약 40명의 로비스트에 540만 달러(약 70억1천만원)를 지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틱톡의 전방위적인 입법 대응은 미 정치권의 초당적 ‘틱톡 때리기’에 맞선 것으로 해석된다.
전날 미 하원에서는 틱톡의 안보 위협을 논의하기 위한 청문회가 열렸다. 하원 산하 에너지통상위원회는 이날 청문회에서 추쇼우즈 틱톡 CEO를 출석시켜 여야 구분 없이 ‘틱톡 성토’에 나섰다.
같은 달 초에는 미 상원에서 (틱톡 등과 같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 외국 정보통신기술이 미국에서 사업하는 것을 막을 권한을 행정부에 부여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연합뉴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