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미국 연구팀이 정자의 성(性)을 선택하는 인공수정에 성공한 데 대해 윤리적 논쟁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2일(현지시간) 영국 ‘스카이뉴스’에 따르면, 미국 뉴욕 웨일 코넬 의대 지안피에로 팔레르모 교수팀은 과학저널 ‘플로스 원’(PLOS ONE)에 ‘정자의 성을 선택하는 인공수정이 80%의 정확도로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정자의 남성(Y), 여성(X) 염색체가 각각 무게가 다른 점을 이용해, 고객(부모)의 주문에 따라 정자를 선별해 인공수정을 했다.
그 결과 딸을 원하는 부부 59쌍은 292회 인공수정에서 231회(79.1%) 딸 배아를 얻은 데 성공했고, 아들을 원하는 부부 56쌍은 280회 인공수정 가운데 223회(79.6%) 아들 배아를 얻었다.
연구팀은 이런 방법을 통해 딸 16명과 아들 13명이 건강하게 태어났다고 밝혔다.
팔레르모 교수는 “이 기술은 효율적이고 비용도 저렴할 뿐 아니라 매우 안전하며 윤리적으로도 괜찮다고”고 주장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인위적인 성 선택은 △출생에 대한 본질적 존엄성 △자연스러운 성비 균형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윤리적 논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많은 국가에서는 ‘성별과 관련된 질환’ 등 타당한 사유 없이 부모가 배아의 성별을 기호대로 선택하는 것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서울신문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