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8.15(금)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2차 대전 때 문서위조로 유대인 1만명 구한 카민스키... 永眠

강주연 기자  |  2023-01-10
인쇄하기-새창
[SOH] 2차 세계대전 당시 1만 명에 달하는 유대인의 목숨을 구한 위조전문가 아돌포 카민스키(Adolfo Kaminsky)가 향년 97세로 세상을 떠났다.

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카민스키가 이날 파리의 자택에서 사망했다고 전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10대였던 카민스키는 염색공장과 세탁소에서 일하면서 습득한 잉크 제거 기술로 나치 독일이 점령한 프랑스에서 유대인들의 신분증을 수정해 그들의 탈출을 도왔다.

유대계 프랑스인들은 ‘이삭’이나 ‘아브라함’ 등의 이름을 즐겨 사용했는데, 이를 프랑스인의 느낌이 나는 새 이름으로 바꾼 것.

카민스키는 이 위조 작업에 초등학교 시절 학교신문을 편집할 때 배운 기술을 이용했다. 

카민스키는 생전 인터뷰에서 "유대인 어린이를 위해 900장의 출생증명서와 300장의 식량배급 카드를 3일 안에 위조해달라는 주문을 받은 적도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가 밤을 새워 만든 위조문서를 사용해 유대인 어린이들은 스위스나 스페인 등 인근 국가로 탈출할 수 있었다. 

당시 카민스키는 “1시간에 30장의 문서를 위조할 수 있지만, 1시간 잠을 자면 30명의 생명이 사라진다”고 되뇌면서 이틀간 밤을 새웠다.

그가 만든 위조 문서로 수용소행을 피하고 생명을 지킨 유대인의 수는 1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대부분 어린이였으며, 카민스키는 위조서류를 만들어준 댓가로 단 한 번도 돈을 받은 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민스키는 문서위조 기술도 능해 프랑스의 비밀 유대인 지원 조직 사이에서 각종 주문이 쇄도했다. 

유대계였던 그는 1943년 수용소에 끌려가 죽을 위기에 겪었다. 다행히 아르헨티나 국적이어서 변을 피할 수 있었고, 이후 위조 문서 일을 시작했다.

NYT는 카민스키가 전쟁 중 너무 많은 일을 한 탓에 시력이 크게 손상됐고 결국 한쪽 눈이 영구 실명됐다고 전했다.

카민스키는 1970년대 초반부터 위조와 관련된 일을 그만두고 사진가로 전업했다. 그의 이야기는 영화(‘위조범’)로도 제작돼 2016년 에미상에서 단편 다큐멘터리상을 수상했다.


강주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2505 국제 선교회 ‘2022 기독교 탄압 상위 50개국’ 발표... ....
박정진 기자
23-02-11
2504 튀르키예 지진 사망자 2만1천명 이상... 20만명 구조되....
김주혁 기자
23-02-10
2503 美 CECC, 홍콩 민주 인사 노벨평화상 후보 추천... 젠 ....
강주연 기자
23-02-10
2502 英 성공회 “동성커플 축복 허용”... “모든 사람 환영하....
도현준 기자
23-02-10
2501 中 정찰풍선, 수년 간 5개 대륙서 정보 수집
디지털뉴스팀
23-02-09
2500 튀르키예·시리아 7.8 지진... 하루 만에 사망자 4000↑
한지연 기자
23-02-07
2499 中, 러시아 전쟁 장비 지원... 국제 재제 품목 84000건 ....
디지털뉴스팀
23-02-06
2498 바이든, ‘中 정찰풍선’ 늑장 대응... 美 의회 초당적 비....
디지털뉴스팀
23-02-06
2497 美 최대 은행, 바이트댄스와 공동 결재 파트너십... 국....
디지털뉴스팀
23-02-06
2496 英 명문 런던 정경대, ‘기독교 용어’ 제거·변경... “국....
디지털뉴스팀
23-02-04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50,497,769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