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지난해 미국 중간선거에서 하원을 탈환한 공화당이 정부기관의 직권남용에 대한 조사를 준비 중인 가운데, 이를 통해 조 바이든 대통령과 그의 차남(헌터)의 비리 의혹을 정조준 할 것으로 보인다.
1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에 따르면 공화당은 하원 법사위원회 산하에 FBI와 법무부, 미국 내 정보기관 등의 여론조작 등 정치개입 의혹 조사를 위한 '연방정부 무기화 특별소위원회'(이하 특별소위)를 설치할 계획이다.
특별소위 주도에 앞장 선 케빈 맥카시 공화당 원내대표는 최근 하원 법사위원장과 정부감독개혁위원장으로 각각 내정된 짐 조던(공화·오하이오) 의원과 제임스 코머(공화·켄터키) 의원을 만나 관련 논의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악시오스는 “특별소위에서는 바이든 행정부가 작년 상반기 국토안보부 산하에 설치했다가 검열 논란이 일자 몇주 만에 해체한 '거짓정보 위원회'(Disinformation board)와 관련한 문제도 다뤄질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위원회 추진은 일론 머스크 트위터 최고경영자가 지난달 초 공개한 이른바 '트위터 파일'로 촉발됐다.
당시 머스크는 FBI가 트위터 임원진과 정기적으로 회의를 하면서 사소한 풍자 글마저 '거짓정보'라며 조처를 압박하고 사용자 개인정보를 요구해 왔다는 의혹이 담긴 자료를 공개한 바 있다.
매체는 이번 조사의 궁극적 타깃은 바이든 대통령과 차남 헌터일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 2020년 미국에선 대선 투표일을 3주 앞두고 보수성향 타블로이드 '뉴욕포스트'가 헌터 바이든의 부정부패 의혹을 다룬 기사를 폭로했지만 FBI 관여로 이슈화를 되지 못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당시 매체는 ‘△헌터로 추정되는 인물이 마약을 흡입하면서 신원미상의 여성과 성행위를 하는 영상과 △헌터와 우크라이나 기업의 유착 관계를 입증할 이메일 등 자료가 담긴 노트북이 오하이오주 델라웨어의 한 컴퓨터 수리점에서 발견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당시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은 ‘진위 불명확’을 이유로 해당 기사의 공유를 제한했다. 이에 대해 일각에선 문제의 노트북을 입수한 FBI가 조사 결과를 축소·은폐했다는 의혹도 나왔다.
바이든과 헌터는 우크라이나 에너지기업의 부정부패 의혹과도 연관된 인물이다.
작년 11월 17일 미 하원 감독위원회 공화당 간사 제임스 코머(켄터키) 의원은 이날 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18대 의회에서 위원회는 바이든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 가족의 외국 파트너와의 현황을 평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위원회는 바이든 대통령이 외국 돈과 영향력에 의해 휘둘리는 대통령인지도 볼 것”이라며 “이것은 조 바이든에 대한 조사이며 이 문제가 다음 의회에서 위원회가 집중할 분야라고 분명히 말하고 싶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바이든 대통령의 가족이 관련된 약 150건의 수상한 금융 활동 보고서를 인지하고 있다”며 “우리는 그동안 반복적으로 바이든 정부의 재무부에 금융 서류를 공화당 의원에게 제출할 것을 요청했으나 재무부는 이를 거부했다”고 비판했다.
코머 의원은 같은 달 11일 미국 CBS 뉴스에 “헌터 바이든을 소환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 연합뉴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