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자신의 성 전환을 되돌리겠다고 밝힌 미국의 트렌스젠더가 자국에서 “성전환이 일종의 거대 산업으로 변질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12일(현지시간) ‘데일리메일’ 등에 따르면, 미국 해군 특수부대 네이비실(Navy SEAL) 출신의 트렌스젠더 크리스틴 벡(55)은 최근 팟캐스트 인터뷰에서 다시 원래의 성을 되찾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벡은 20년간 네이비실에서 복무했다. 그러다 지난 2013년 미국 CNN에 출연해 자신이 트렌스젠더라고 커밍아웃했다.
당시 그는 “어린 시절부터 몸과 달리 마음은 여자였다”면서 “군 복무 증에도 성 정체성으로 계속 고민했다”고 밝혔다.
벡은 성전환 전 두 번의 결혼을 통해 아들 둘을 낳았지만, 성 정체성에 대한 어려움은 계속됐다. 결국 그는 여성이 되기로 결심했고, 호르몬 치료를 받고 레이저로 수염도 제거했다. 다만 성기 수술은 하지 않았다.
이후 그는 네이비실 출신의 트렌스젠더로 유명세를 누리며 책을 출간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벡은 9년이 지난 최근 한 인터뷰에서 과거의 행동을 후회한다고 밝혔다.
벡은 “나는성전환으로 인생을 망쳤지만 이제라도 바로 잡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고백했다.
그는 너무 쉽게 성을 바꿀 수 있는 미국의 성전환 시스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벡은 “미국 전역에는 성 클리닉 널려있어 언제든 원할 때 성을 바끌 수 있다”며 “나도 불과 1시간 상담을 받은 후 트렌스젠더가 되는 여정을 시작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트렌스젠더가 맞는 호르몬 주사는 소아성애자의 의학적 거세를 위해 사용하는 주사"라며 "미국에선 건강한 13살 어린이에게도 성전환을 목적으로 이 주사를 놓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성전환이 미국에서 일종의 거대 산업으로 변질되고 있다"고도 지적했다. 그는 “성전환은 수십억 달러 규모의 산업”이라며 “전국적으로 수천 개의 젠더 클리닉이 생겨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각 젠더 클리닉은 지금까지 약 5천만달러 이상을 끌어들였을 것"이라며 "젠더 클리닉이 아이들에게 어떻게 해를 끼치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 미국인들은 정신 차려야 한다"고 호소했다.
벡은 2013년부터 2년간 호르몬 주사를 맞다가, 건강상 문제로 7년 전부터 호르몬 치료를 중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