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8.04(월)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전 세계 식량 부족 심화... 주요 수출국 속속 문단속

하지성 기자  |  2022-05-30
인쇄하기-새창

[SOH] 러시아·우크라이나(러·우) 전쟁으로 촉발된 식량 공급 부족 현상으로 ‘자국 우선주의’ 대응을 앞세워 식량 수출 제한에 나선 국가들이 늘고 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세계 최대 밀 수출국이다.

29일(이하 현지시간) 미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에 따르면 지난 26일 기준 일부 식품의 수출을 금지한 국가는 19개국으로 집계됐다. 

인도는 지난 13일 밀 수출을 전격 금지한 데 이어, 24일 올해 설탕 수출량을 총 생산량(3550만t)의 약 28%인 최대 1000만t으로 제한했다. 

인도는 세계 2위 밀 생산국이고, 설탕 원료인 사탕수수의 세계 최대 생산국이다. 

세계 최대 팜유 수출국인 인도네시아는 지난달 28일부터 자국 내 식용유 가격 급등을 이유로 약 한 달간 팜유 수출을 전격 금지했다가, 국내외 반발에 지난 19일 금지령을 해제했다.

말레이시아는 내달부터 월 360만 마리로 닭고기 수출을 제한할 예정이다. 

터키는 3월 초·중순부터 쇠고기, 양고기, 식용유 등의 수출을 제한했다. 

알제리와 모로코, 가나, 헝가리, 아제르바이잔 등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식품 수출을 제한한 바 있다.

세계 각국의 이 같은 식량 보호 움직임은 전 세계 밀 수출의 25%를 차지하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밀 수출 제한으로 촉발됐다. 올해 초 t당 280달러 수준이었던 밀은 현재 400달러까지 올랐다.

식량 수출 제한에 나서는 나라들이 늘면서 저소득국, 빈곤층이 많은 아프리카와 중동 저개발 국가의 식량 부족 타격은 계속 커질 전망이다. 

이집트에선 이미 빵 값 폭등으로 2011년 ‘아랍의 봄’ 당시와 같은 정세 불안이 초래되고 있다.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은 러·우 전쟁 장기화로 현재까지 81개국에서 4700만 명의 기아인구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아프리카를 시작으로 올 연말까지 전 세계 50여 국 19억 명이 기아에 처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하지성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2960 美 보건복지부... “정부 지원 받는 기관이 생체 장기적....
디지털뉴스팀
25-07-29
2959 美하원, 中 대만 침공시 공산당 수뇌부 미국 내 자산 동결
디지털뉴스팀
25-07-28
2958 美 하원위, FBI에 “中 생체인식 기기 인증 중단” 촉구
디지털뉴스팀
25-07-26
2957 한미 '25일 2+2 협상' 무산... 베선트 “긴급 일정으로 ....
디지털뉴스팀
25-07-24
2956 대만 교수, 학생 ‘강제 체혈’ 논란... 거부하면 '학점·....
디지털뉴스팀
25-07-22
2955 트럼프 ‘펜타닐 유통 처벌법’ 서명... “中, 펜타닐 수출....
디지털뉴스팀
25-07-21
2954 美 국무부 “파룬궁 탄압 중단” 촉구... 의회, 법적 제재....
디지털뉴스팀
25-07-19
2953 프랑스, 예산 적자 감축 위해 ‘공휴일 줄이기’ 추진
강주연 기자
25-07-17
2952 美 하원 군사위, 국방수권법안 통과... "주한미군 규모 ....
김주혁 기자
25-07-17
2951 돈에 눈먼 무개념 유튜버들... “中여행 공짜면 체제 선....
디지털뉴스팀
25-07-15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50,044,411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