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중국이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중립적 입장을 주장하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친러 사상교육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뉴시스’ 등에 따르면 ’뉴욕타임스(NYT)‘는 4일(현지시간) “중국공산당(이하 중공)이 관리들을 대상으로 러시아를 지지하는 다큐멘터리 시청하고 그에 대해 토론하는 내부 행사를 전국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역사적 허무주의와 소련의 붕괴'라는 제목의 이 다큐(101분)는 지난해 제작된 것으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찬양하는 내용이 담겼다.
구체적으로는 푸틴을 스탈린의 '위대한 전시 지도자'라는 위상을 복원하고 러시아의 과거에 대한 애국적 자긍심을 되살린 인물로 극찬하면서, 그가 소련을 망하게 한 정치적 독소를 청소하고 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구소련의 붕괴를 서구 자유주의에 현혹하지 말라는 중국에 대한 교훈으로 묘사했고, 구소련에서 독립한 국가들에 대한 러시아의 우려는 정당하다는 주장도 담겼다.
이밖에 대러 비판을 자제하는 중국 정부에 대한 대학생들의 비판 가능성을 의식해 이들에 대한 주입식 사상 교육도 강화하고 있다.
관변 학자인 류줘쿠이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은 최근 동부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은 러시아의 생존 공간을 압박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동진(東進) 때문에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NYT는 중국의 이러한 시도는 올 가을 당 대회에서 시진핑 중공 총서기의 3연임 공식화를 앞두고 당 간부들의 충성심을 고취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고 분석했다.
도현준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