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7.27(일)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英 연구팀... 코로나 감염시 증상 경미해도 '뇌 구조 변화'

디지털뉴스팀  |  2022-03-08
인쇄하기-새창

[SOH] 중공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감염시 증상이 경미하더라도 후각, 기억 등과 관련된 뇌의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이로 인한 뇌 손상 영향이 더 클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영국에서 나왔다.


7일(현지시각)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따르면, 그웨나엘 두오드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팀은 코로나19 확진자들의 뇌 영상을 확진 전후를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이러한 결론을 얻었다.


연구팀은 영국 건강 데이터베이스 사업 ‘바이오뱅크’(UK Biobank)에 참여한 51∼81세 장년층과 노년층 785명의 뇌 변화를 조사했다. 


이들 중 401명은 두 번의 뇌 영상 촬영 사이에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 나머지 384명은 코로나19에 감염된 후 뇌 영상 촬영이 이뤄졌다. 


연구팀은 이들의 뇌 영상을 촬영해 코로나19에 걸린 후 3개월 뒤에 뇌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조사했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환자는 안와전두피질(orbitofrontal cortex)과 해마곁이랑(parahippocampal gyrus)에서 회백질 두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와전두피질은 인간 뇌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부위로 인지 정보와 감정 정보를 통합하는 역할을 한다. 해마곁이랑은 대뇌 반구 아래에 있는 긴 이랑으로 후각, 사건 기억과 관련된 영역으로 알려져 있다.


감소 정도는 1.3~1.8% 정도였다. 이는 정상적인 중년 성인의 연간 뇌 용적 손실(0.2~0.3%) 정도와 비교해서 더 크다.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뇌 부위 축소는 나이가 많을수록 더 컸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후각 경로나 신경계 염증, 후각 상실로 감각 입력 기능이 저하되면서 퇴행성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두오드 교수는 “코로나19에 영향을 받는 뇌 영역 중 어느 부위가 취약한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2318 美 의원, 파우치 해임 법안 발의... “비과학적 방역으로....
디지털뉴스팀
22-03-22
2317 페이스북, ‘생체정보법 위반‘으로 일리노이 주민들에게 ....
디지털뉴스팀
22-03-21
2316 中, 남중국해 인공섬 3곳 ‘군사화’ 완료
한지연 기자
22-03-21
2315 바이든, 시진핑에 “러 지원시 후과” 경고
권민호 기자
22-03-19
2314 美 의원그룹, 메타에 우려 서한... “中, 페이스북에 러....
한상진 기자
22-03-18
2313 美 법무부, 中 공작원 5명 기소... ‘국경을 넘어선 탄압....
하지성 기자
22-03-18
2312 베이징 외교 공관들 우크라이나 공개 지지... 韓은 침묵
디지털뉴스팀
22-03-16
2311 IPAC, 유엔 중국 시찰에 '제한 없는 독립조사 기대'
김주혁 기자
22-03-14
2310 美·EU, 대러 제재 강화... “최혜국 대우 박탈”
디지털뉴스팀
22-03-12
2309 美, 러시아와 정상적 무역관계 공식 중단
디지털뉴스팀
22-03-11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9,715,274

9평 공산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