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리투아니아가 대만대표처 설치를 허가한 데 대해 중국이 리투아니아와의 외교 관계를 대사급에서 대표처급으로 격하하는 보복에 나섰다.
21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중국 외교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리투아니아가 중국의 거듭된 요구에도 불구하고 대만 당국의 '주 리투아니아 대만대표처' 설치를 허가해 수교 당시의 정치적 약속인 ‘하나의 중국’ 원칙을 어겼다”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는 이어 “리투아니아 정부는 대만 명의로 대표처를 설치해 국제적으로 나쁜 선례를 만들었다”면서 “대사급 외교 관계의 정치적 기반이 무너진 만큼 양국 외교 관계를 대표부 급으로 격하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에 대해 리투아니아 외교부는 “우리는 ‘하나의 중국’ 원칙을 고수하지만 다른 많은 국가와 마찬가지로 대만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실질적인 발전 동력을 확보할 권리가 있다”며, “리투아니아에 대만 대표처 설치를 허가한 것은 경제적 이익에 기반한 조치”라고 주장했다.
앞서 대만 외교부는 지난 18일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에 '대만대표처'가 공식 개관해 업무를 개시했다고 확인했다.
대만이 유럽에 외교 공관을 신설한 것은 18년만이며, 대표처에 ‘타이베이’가 아닌 ‘대만’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10월 출범한 리투아니아 현 정부는 자유민주주의를 강조하며 대만과의 관계를 한층 강화하며 중국과 각을 세웠다.
리투아니아는 올해 초 대만에 무역대표부를 설치할 것이라고 밝힌 데 이어, 지난 5월에는 중국과 중·동부 유럽 국가 간의 ‘17+1 협력체’에 대해 “분열적”이라며 탈퇴를 선언했다.
이어 지난 7월에는 자국 주재 대만 기구를 '타이베이 대표처'에서 '대만 대표처'로 격상하고 내년 초 대만에 경제무역 대표처를 설립할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이에 대해 중국은 리투아니아 주재 자국 대사를 소환하는 한편 베이징에 있는 리투아니아 대사를 추방하는 등 외교적 압박을 가해왔다. 또한 중국과 리투아니아를 연결하는 화물열차 운행을 일방적으로 잠정 중단하는 등 경제 보복에도 나섰다.
중국의 반발과 보복에 대해 익명을 요구한 리투아니아 고위 관계자는 “중국이 (우리와) 외교 관계를 단절할 가능성은 작다”고 내다봤다. 그럴 경우 중국은 리투아니아와 대만 간 친행보를 막을 수 없고 그것은 중국에 또 다른 재앙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상진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