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9일(이하 현지시간) 중국에 부과되는 상호관세를 104%에서 125%로 대폭 인상했다. 한국을 비롯한 70여개국에는 90일간의 관세 유예를 적용, 기본관세율인 10%만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조치는 상호관세가 공식 시행된 지 13시간여 만에 이뤄졌다. 중국은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해 보복성 대응을 이어가는 반면, 한국 등 대부분 국가는 협상 의사를 밝힌 데 따른 결정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미국의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도 90일간은 기존 25%에서 10%로 낮아진다. 다만 철강, 자동차 등에 대한 25% 품목별 관세는 그대로 유지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SNS인 트루스소셜에 “중국에 대한 관세를 즉시 125%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는 중국이 미국의 상호관세에 대해 조치를 발표하자 나온 맞대응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은 미국과 다른 나라들을 갈취하던 날들은 더는 계속할 수 없고 용납되지도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라며 나머지 국가들과는 맞춤형 협상을 계속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을 제외한 70여개 국가는 미국과 협상에 나섰고 보복도 하지 않았다"면서 이들 국가에 대해선 "90일간 (국가별 상호관세를) 유예 및 상당히 낮춘, 10%의 상호관세를 승인했다"며 "이 또한 즉각 시행된다"고 전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SNS 게재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중국에 대한 관세는 125%로 인상될 것이며 이는 중국이 경솔하게 보복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라며 "누구든 미국을 때릴 경우 트럼프 대통령은 더 세게 맞받아칠 것"이라고 말했다.
레빗 대변인은 이어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 대해선 "우리는 맞춤형 협상을 계속할 것이며 그 기간에 90일간의 유예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미국의 관세 폭격에 중국은 동일한 관세로 맞서고 있다. 또 미국 여행 자제령도 내리는 등 전면전에 나서는 모양새다.
중국은 10일 낮 12시 1분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84%의 보복관세를 부과했다. 이는 하루 전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가 발표한 조치다.
애초 34%로 발표됐던 중국의 관세는 9일 84%로 상향 조정됐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보복 방침에 즉각 50%를 추가해 총 104%로 인상한 데 대한 대응이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또 다시 보복에 나서자 같은 날 오후 대중 관세를 다시 21%포인트 올려, 총 125%로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은 아직 이에 대한 추가 대응은 내놓지 않았지만, 미국 기업 12곳을 수출통제 목록에 올리고, 6곳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명단에 추가하며 맞불을 놓았다. 동시에 미국 여행 자제령도 발효했다.
김주혁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