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우리 군이 새로 도입하기로 한 전투원용 무전기에서 핵심 부품에 중국산 제품을 쓴 사실이 적발됐다.
지난 9일 ‘JTBC’ 보도에 따르면 군은 구형 무전기를 대체할 국산 전투원 무전기를 내년 말까지 최종 전력화하려 했지만, 최근 보안 문제가 제기되면서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앞서 우리 군은 지난 2014년 구형 무전기를 대체하는 국산 전투원용 무전기 5만 6000대를 도입하기로 했다.
총 사업비 413억원으로 2020년부터 1만 6600여대를 보급했고, 내년에 182억원을 들여 나머지 4만여대를 새로 구매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최근 군은 핵심부품에서 보안 문제가 제기됐다며 사업을 잠시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월 방위사업청의 서면 평가를 통과한 세 곳의 생산업체 중 두 곳에서 중국산 통신칩을 사용한 사실이 적발됐기 때문.
방사청은 "도청, 해킹 등의 방지를 위해 보안상 우려가 있는 통신칩의 사용을 제한해야 한다"며 국방과학연구소 등에 재검토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안규백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저 입찰가를 하다 보니 중국산 외산이 수입될 수밖에 없고, 종합 평가 입찰 제도를 도입해서 군 보안 취약성 보완하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군은 당초 내년 말까지 최종 전력화를 완료한다는 방침이었지만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이미 보급된 신형 무전기 간에도 호환 X"
앞선 국정감사에서는 이미 보급된 신형 무전기 간에도 호환이 안 된다는 문제점도 드러났다. 중국산 부품은 보안뿐 아니라 성능도 엉망이라는 사실이 다시 한번 확인된 것이다.
방사청은 "관련 기관들과 긴밀이 협의해 보안 우려 사항을 해결하고 조속히 전력화를 마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7월 말에는 육‧해‧공군 주둔지나 훈련장에 설치된 1,300여 개의 CCTV가 중국산으로 확인되면서 정보 유출 우려를 이유로 이를 모두 철거하기도 했다.
인사이트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