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H]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전 세계는 지난 2년 반 동안 공포와 통제, 각종 2차 피해를 겪었다.
‘그레이트 리셋(Great Reset·전면적인 재편)’을 주창하고 세계경제포럼(WEF)을 창립한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은 2021년 1월 연례회의(다보스포럼)의 주제를 ‘그레이트 리셋’으로 정했다고 발표했다.
그는 또 ‘지금이 바로 그레이트 리셋을 할 때(Now is the time for a great reset)’라는 기고문을 통헤서도 코로나19를 이용해 자본주의를 ‘그레이트 리셋’ 하겠다고 공언했다.
이렇듯 코로나19가 정치적으로 이용되고 있음이 확연히 드러나면서, 마침내 일부 사람들은 ‘좌파가 코로나19를 신세계질서(New World Order)를 수립하는 지렛대로 삼았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그러나 좌파는 이를 보수가 꾸민 ‘음모론’이라고 주장하며 인정하지 않는다.
■ 국제 의·과학계, “특정 이익집단, 코로나19 악용”
지난 5월 11일 ‘전세계 코로나연합(Global Covid Summit·이하 GCS)’은 홈페이지에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이 단체는 전 세계 의사·과학자 1만7000명으로 구성됐다.
선언문은 빅테크 기업, 미디어, 의료 학계, 정부기관들의 연대가 코로나19를 악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1만7000명의 의사와 과학자들은 국가적 의료 비상사태를 해제하고, 과학적 진실을 회복하고, 반인륜적 범죄를 폭로해야 한다고 선언한다. 히포크라테스선서에 대한 충성심으로 단결한 우리 의사와 의학자들은 환자에게 부과된 끔찍한 코로나19 공중 보건 정책과 금융 자본이 ‘타락한 의료계·제약사·보험사들의 의료연대의 정점에 있음’을 알게 됐다. 그들은 모든 단계의 의료 시스템에 침투했고 은밀히 조직된 재난에서 이익을 얻은 거대 빅테크 기업, 미디어, 학계 및 정부 기관의 연대로부터 보호와 지원을 받고 있다.”
GCS는 “국제보건기구와 세계 각국 정부가 의사와 환자에게 가한 끔찍한 코로나19 공중보건 정책은 제약사·보험사·의료계 연대의 공동 이익을 위한 수단이 됐고, 그들이 저지른 죄악은 ‘반인륜적 범죄’”라고 규정했다.
이들은 선언문에서 △의료계가 실험 단계인 코로나 백신의 정확한 정보를 환자들에게 알리고 동의를 구해야 하는 기본적인 의무를 거부한 점 △강제 접종으로 무고한 사람들의 건강을 해치거나 목숨을 잃게 한 점 △실제 임상 결과를 발표하거나 생명을 구하는 효과가 입증된 약으로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와 과학자들을 위협하고 해고한 점 등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GCS는 또 코로나19가 세계 특정 이익집단의 정치적 야욕을 달성하려는 도구가 됐다는 점도 직설적으로 지적했다.
“환자들은 정부, 보건 당국 및 언론이 시행한 대규모의 검열과 선전 때문에 백신의 위험과 이득, 그리고 그 대안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지 못하고 있다. 환자들은 그들의 건강과 직업, 자녀 교육에 해를 끼치고 또 현대 사회에 필수적인 사회적 유대와 가족 간 유대를 파괴하는 강제 봉쇄 조치에 시달리고 있다. 이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코로나19: 그레이트 리셋(Covid-19: Great Reset)’이라는 책에서 이 세력의 지도자들은 코로나19를 전 세계의 사회, 문화, 정치구조, 경제를 재설정하는 ‘기회’로 삼겠다는 의도를 분명히 밝혔다.”
이밖에 GCS는 선언문에서 의사와 의학자들 간의 자유로운 대화를 시작으로 의료권(權)과 환자의 자주권을 회복하고 의사와 환자의 신성한 관계 회복을 위한 ‘10가지 원칙’도 제시했다.
이 원칙에는 “우리는 환자와 의사에게 백신의 안전성 및 효과에 관한 정보를 의도적으로 빠뜨린 화이자, 모더나, 바이오엔텍, 얀센, 아스트라제네카 및 협력자들을 즉시 사기 혐의로 기소해야 한다. (제9조)”, “정부와 의료 기관은 (코로나 사태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제10조)”는 내용이 포함됐다.
GCS는 이번 선언문에서 코로나19 사태 이후 제기된 모든 의문에 대한 답을 직설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했다.
■ WHO, 코로나 사망자 2.5배 과다 집계
세계보건기구(WHO)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6월 7일 현재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5억3200만 명, 사망자 수는 총 630만 명이다.
사망자는 미국이 101만 명으로 가장 많고, 인도가 52만5000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그런데 WHO가 지난 5월 5일 발표한 연구 보고서상의 사망자 수는 이 수치의 2.5배가량 된다.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는 지난 1일 ‘코로나19 사망자수: 과학자들이 WHO의 추정에 오류가 있음을 인정하다’란 제목의 기사를 통해 수정 경위를 밝혔다.
네이처는 “WHO는 5월 5일 발표한 194개국의 초과사망률 연구보고서에서 2020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전 세계적으로 1330만~1660만 명이 팬데믹으로 인해 사망했다고 추정했다. 이는 보고된 코로나19 사망자 수의 2.5배 이상”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WHO와 협력한 과학자들은 해당 오류를 바로잡았다.
WHO의 코로나19 세계 사망률 평가 프로그램을 이끌고 있는 시애틀 워싱턴대학교 통계학자 존 웨이크필드(Jon Wakefield)는 피드백을 받은 후 문제가 있음을 깨닫고 5월 18일 트위터에 수정된 논문을 공개했다.
WHO가 착오가 있다고 인정한 이 보고서의 핵심은 두 가지다.
하나는 팬데믹으로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점이고 다른 하나는 ‘정치적 민감’을 우회적으로 인정하면서도 정부 발표의 신빙성 문제를 제기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GCS가 제기한 가장 심각한 문제, 즉 이들 연대가 코로나19를 전 세계의 사회, 문화, 정치 구조 및 경제를 리셋하는 ‘기회’로 이용하고 있다는 사실은 결코 인정하지 않는다.
사실, 캐나다와 프랑스에서는 백신 접종 의무화 정책을 통해 시민의 정당한 권리를 박탈한 적이 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백신 접종을 완료했다는 ‘보건 증명서’가 있어야 자유로운 이동과 공공장소 출입을 할 수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도 백신 의무화를 시행하려 했지만 공화당이 관리하는 주 정부의 반대 소송이 잇따랐고, 연방법원도 이들의 손을 들어주었다.
■ “좌파에게 코로나19는 선물”
미국의 반전 인사로 유명한 배우 제인 폰다(Jane Fonda)는 세계 이익집단이 코로나19를 악용한 데 대해 “코로나19는 좌파에게 준 신의 선물(COVID-19 Is ‘God’s Gift To The Left’)”이라고 꼬집었다.
2020년 1월 코로나가 미국에 전파되자 미국 좌파는 트럼프 당시 대통령을 공격할 절호의 기회로 여겼다. 코로나 대유행이 당시 호황을 누렸던 미국 경제에 큰 타격을 입힐 수 있기 때문이다.
좌파 진영은 코로나19를 ‘우편 투표’를 실시하기 위한 핑곗거리로도 삼았다.
다큐멘터리 영화 ‘2000명의 운반책(2000 Mules)’은 2000년 미국에서 벌어진 우편투표를 통한 부정선거를 다뤘다.
이 영화는 부정선거에 가담한 2000명의 투표지 배달꾼들이 부정한 투표지를 투표함에 넣어 미국을 혼란에 빠뜨린 과정을 담았다.
2년 반 동안 전 세계는 코로나19에 시달릴 대로 시달렸다. 이제는 코로나 기원과 진실에 대한 의문과 함께 재조명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일부 서방 국가가 백신 의무화를 강행하면서 국민의 권리를 재설정하려 했지만 자국민들의 격렬한 저항에 부딪혔다.
이에 서방 국가의 정부들은 어쩔 수 없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이목이 집중되는 사이 슬그머니 “위드 코로나 집단면역 모드’로 전환했다.
중국은 이 와중에도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했지만 국민의 인내가 극한에 달하면서 원성이 높아지자 방향을 바꿀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얼마 전 중국 위생건강위원회(위건위)는 각지에 방역 관련 ‘9가지 불허(九不准)’를 요구했다.
여기에는 ▲중·고위험 구역 및 통제 구역의 통제 기간을 임의로 연장하지 말 것 ▲조건에 부합해 고향으로 돌아가는 대학생에 대해 격리 등의 조치를 취하지 말 것 등이 포함된다. 그래서 최근 여러 지역에서 핵산 검사 증명서 제시 요구를 취소했다.
코로나19의 기원과 전파, 각국 방역정책의 정치화에 대한 진실은 반드시 밝혀야 한다.
이번에 국제 의료계의 부패한 연대가 코로나19를 이용해 이익을 꾀하고 정치적 목적을 달성한 사실과 WHO가 이번 전염병 사태에서 저지른 과오를 폭로한 것은 그 시작일 뿐이다. / 에포크타임스
디지털뉴스팀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