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04.03(목)
페이스북 바로가기 트위터 바로가기
  • 중국

  • 국제/국내

  • 특집

  • 기획

  • 연재

  • 미디어/방송

  • 션윈예술단

  • 참여마당

  • 전체기사

검색어 입력

美 바이든, 인플레 해결책으로 中 관세 일부 폐지... 빠르면 이달 중

한지연 기자  |  2022-06-15
인쇄하기-새창

[SOH]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해 중국산 소비재 등 제품에 부과하는 고율 관세를 일부 해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3일(이하 현지시각) 미 정치전문매체 '악시오스'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7일 핵심 각료들과 만나 트럼프 전 행정부 당시의 중국 관세 리스트에서 일부 품목을 무역법 301조 관세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에 대한 구상을 논의했다.

악시오스는 이번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바이든 대통령의 결정은 빠르면 이달 중 나올 것”이며, “철강이나 알루미늄 등은 관세 인하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작을 것”으로 전망했다.

바이든의 구상은 최근 인플레이션 급등 등 경제 악재로 자신에 대한 지지율이 폭락한 가운데 나왔다.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있는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은 지난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41년 만에 최대폭인 8.6% 급등하는 등 인플레이션이 심화하면서 최저치(40.1%)로 추락했다.

바이든은 중국산 수입품 가격 인하로 인플레이션 압력 완화를 기대하지만, 행정부 내에서는 대중 관세 인하가 현 인플레이션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라는 입장도 나왔다.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은 최근 하원 세입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보다 전략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중국 수입품을 대상으로 한 고율 관세를 재구성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확인했다. 

그러면서 “관세 인하는 일부 진정 효과는 있겠지만 현재 인플레이션은 40년 만에 최고 수준인 만큼 큰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관세 대상인 중국산 소비재는 미국 내 소비의 3분의 1에 불과해, 일각에서는 “소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명확치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 시 중국의 불공정 무역관행 등을 이유로 무역법 301조에 따라 2200여개에 달하는 중국산 제품에 무더기로 고율의 관세를 부과했고, 이후 2020년 초 549개로 대상을 줄였다. 

이후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3월 관세 적용을 받는 중국의 549개 품목 중 352개에 대해 관세 부과 예외를 한시적으로 허용한 상태다.


한지연 기자
(ⓒ SOH 희망지성 국제방송 soundofhope.kr)
  목록  
글쓰기
번호
제목 이름 날짜
484 [SOH 이슈] 세계경제포럼 수장 “코로나19, '그레이트 리....
디지털뉴스팀
22-06-20
483 美 바이든, 인플레 해결책으로 中 관세 일부 폐지... 빠....
한지연 기자
22-06-15
482 [SOH Info] ‘편리함’ 속에 감춰진 위험... 당신의 정보....
박정진 기자
22-06-04
481 원숭이두창 계속 확산... 빌 게이츠 ‘제2 팬데믹’ 예고 ....
한상진 기자
22-05-30
480 머스크 트위터 인수에 '中共 개입' 우려
구본석 기자
22-04-28
479 바이든 對中 경계 완화?... ‘차이나 이니셔티브’ 폐기
디지털뉴스팀
22-03-31
478 유럽 다수 정치·법률·학자... 푸틴 전범 재판할 법정 설....
디지털뉴스팀
22-03-20
477 美 FDA, 화이자 백신 승인문건 첫 공개... 접종 후 심각....
디지털뉴스팀
22-03-15
476 사전투표, 위헌 논란... "직접·비밀투표 원칙 무시"
디지털뉴스팀
22-03-07
475 빌 게이츠 “코로나 종식 유감”... “또 다른 팬데믹 올 것”..
한상진 기자
22-03-01
글쓰기

특별보도

더보기

핫이슈

더보기

많이 본 기사

더보기

SOH TV

더보기

포토여행

더보기

포토영상

더보기

END CCP

더보기

이슈 TV

더보기

꿀古典

더보기
444,593,202

9평 공산당

더보기